메뉴 건너뛰기
배 병 삼 교수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요.
강의를 들으면서 유교는 구체적, 실척적, 현실성.. 이런 부분에 의구심을 갖게되어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친절한 답변에 감사 드립니다.
고맙습니다.
갑옷전사 드림
추신 : 정 간사님, 애쓰셨습니다. 고맙습니다.
선생님의 강의를 처음부터 듣지 못해 정말 안타까운 시간이었습니다. 제후국에 맞게 세운 서울을 제대로 이해하고 시작했더라면 서울이 근대로 변화되...
안녕하세요, <저자와 함께 하는 역사교과서 다시 읽기> 강좌 진행을 맡고 있는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의 김민수 간사입니다. 개강하면서 수강 동...
안녕하세요 4월부터 시작하는 우쿨렐레 강좌 듣고 싶습니다. 강좌 소개에 '콘서트형' 우쿨렐레면 된다고 하셨는데 제가 가지고 있는 우쿨렐레는 '소프...
지난 겨울 어렵게 짬을 내서 들었던 사진 수업이었습니다. 생태에 관한 글을 쓰는 처지라 사진으로 기록해두려는 욕심과 그렇지만 의도한 만큼 나와주...
복지국가에 대한 7가지 오해와 진실 강좌가 3월 14일(월) 개강했습니다. 복지국가 강좌는 봄학기 강좌 중 가장 많은 분들이 수강하시는 강좌로 복지국...
안녕하세요, <서울, 도시와 공간의 인문학> 강좌 진행을 맡고 있는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의 정세윤 간사입니다. 개강하면서 수강 동기와 관련한 ...
안녕하세요. 느티나무 김민수 간삽니다. ^^ 어제(16일) 저자와 함께 읽는 역사교과서 다시 읽기 2강이 잘 마무리 됐습니다. 단국대 사학과 전덕재 교수...
느티나무 백인보 다섯 번째 - 수강생 황미정 인터뷰 · 글: 박현아 느티나무 시민기자 이번엔 우리 집이다. 백인보가 횟수를 거듭함에 따라 인터뷰 장소...
느티나무 백인보 네 번째 인터뷰 : 수강생 김하나 인터뷰 · 글: 박현아 느티나무 시민기자 참여연대 주차장으로 내려갔다. 느티나무 백인보를 ...
오늘 샌델의 정의론 강의를 들었습니다, 롤스나 샌델 두분 모두 정의를 분배의 관점에서 너무 많이 거론 혹은 고민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도 들기도 하...
안녕하세요 김세경이라고 합니다. 어제 김동춘 교수의 열정적인 강의 잘 들었습니다. 1951념에 이루어진 San Fransisco조약은 한국을 좌지우지하는 조...
이번 강의 모두 수강하고 싶었는데요... 직장인이라 업무 때문에 2강 강의시간에 참석하지 못하였습니다. 3강도 부득이하게 수강하지 못할 것 같네요.(...
배 병 삼 교수님.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요. 강의를 들으면서 유교는 구체적, 실척적, 현실성.. 이런 부분에 의구심을 갖게되어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
1.작년 2010년에 수강한 여러 시리즈 강좌 중에서 양심을 걸고 가장 인상적이고 내용도 알찼으며 강사님들도 열정적으로 강의를 잘해주셔서 제가 지난...
지난 1월 27일 진행된 <정의론 읽기> 두번째 강의(유교의 '정의란 무엇인가)와 관련해서 수강생 한 분이 못다한 질문을 올려주셨습니다. 질문 보기>> ...
게으른 탓에 연휴가 지나고 나서야 후기를 올립니다. 후기를 써야 한다는 생각에 수업 전에 <반세기의 신화> 중 베트남 전쟁에 대한 장도 읽어보고 이...
느티나무 백인보 - 수강생 조은미님과의 인터뷰 - 인터뷰, 글 박현아 느티나무 시민기자 2011. 1. 26. 수요일. 종로구청 앞 12시. 조은미씨. 수첩에 적...
이번주에는 강좌가 없네요. 아쉬운 마음을 담아 몇 글자 적어봅니다. 이 강좌에는 다양한 생각을 가진 분들이 계십니다. 본인이 생각하는 강좌의 목표...
<리영희 읽기> 강좌를 듣고 있는 수강생입니다. 예전에 리영희 선생님을 잘 알지 못했을 때, 누군가에게서 가장 존경하는 인물이 언론인이신 리영희 ...
정의론 을 수강하고 있습니다. 젊은 또는 아직은 나이어린 학생들이 많은것을 보고 놀랐습니다. 어제 "유교의 정의론" 을 들었습니다. 많은 부분을 "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