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소식 l ※ 광고성 게시나 게시판 도배, 저작권 침해 게시글은 삭제됩니다.
2011.01.25.화.리영희 읽기 2강 <한-미 관계:우리에게 미국이란?>
게으른 탓에 연휴가 지나고 나서야 후기를 올립니다.
후기를 써야 한다는 생각에 수업 전에 <반세기의 신화> 중 베트남 전쟁에 대한 장도 읽어보고 이것저것 적으면서 강의를 들었는데, 끝나고 보니 거의 필기처럼 썼더라구요.
도움이 될까 싶어 올립니다.
한-미관계, 우리에게 미국이란?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박태균교수
한국 대외관계의 문제는 어디에서 시작되는가?
"한-일관계에서 문제는 '한국 사람의 의식'이다."-리영희선생
평화를 확고하게 하기 위해서는 전쟁을 제대로 알아야 한다.
한국에서 미국의 전쟁에 파병한 사례-이라크 파병을 예로 이전의 파병을 되짚어 보았다.
2003년 이라크 파병
파병 이유:여론수렴, 국익, 한-미 관계 등
-여론조사
1차:파병 반대 57.5% (다국적군 파병 50%정도)
2차:찬성 56.3% 반대 42.3% (한국군 전투병)
1차와 2차 사이에 무슨 일이 있었나
-유엔 안보리의 이라크 결의안
-일본의 자위대 파병
-베트남 전쟁에 대한 기억 환기
왜 베트남인가
베트남에 대한 인식
-6종 교과서의 베트남 전쟁과 한국의 관계에 대한 왜곡
베트남 전쟁:북베트남 공산군과 남베트남+미국의 전쟁으로 남 베트남의 공산군은 북 베트남을 지원하였다.
(남과 북의 공산군은 별개의 집단임)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쟁이 굉장히 다르지만 6종 교과서에는 비슷하게 왜곡하여 서술하였다.
왜곡의 예:"아시나요"뮤비 속 베트남 여인과 한국군의 관계, 베트남인과 베트콩의 관계.
전쟁에 대한 잘못된 인식-베트남만의 문제인가.
베트남 파병의 명분:안보
실익:경제적 이익
베트남전 당시의 인식:한국은 일본이 한국전쟁으로부터 얻어낸 만큼의 보상을 원한다. -국방부장관
-한국도 일본만큼 돈을 벌어야 겠다는 논리. 실제로 일본을 군수품을 수출하고,미군의 중간 집결지 역할을 하면서 막대한 수익을 거두었다.
→전쟁을 하면 돈을 번다?
베트남전쟁만 그랬을까.
-한국전쟁으로 인한 일본의 전쟁특수
-청일전쟁, 러일전쟁이 일본에 미친 영향
-만주전쟁이 한국에 어떤 의미인가.(식민지 조선인들이 제국의 2등 국민에서 2등 지배자로 승격하였다)
-아프가니스탄 파병 반대의 이유:가도 우리가 얻을 게 없다.
현대 국제정치
ex)한-미FTA재협상:정부-소고기는 자신있게 이야기한다.(2008년 촛불)
→사회적 분위기가 좌지우지 하는 게 크다.
ex)베트남 전쟁:파병 반대, 전쟁 반대하는 내부 여론이 형성되지 않음.
→이것 때문에 리영희 선생님이 한-일 관계에서 한국-베트남의 이야기를 꺼냈던 것이 아니었을까.
구조와 생각의 중요성
-권위주의의 존속, 분단의 지속, 남북한의 대외관계, 사회의 민주화, 경제 성장-정치, 사회, 경제적 변화가 냉전 체계의 변화와 연동→위기의 해법은 수치로 나타내는 것이 불가능하다. 민주화 이후에는 특히 사회적 여론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이라크 파병, 지방선거 등)
베트남과 한-미 관계
제대로된 인식과 기억이 중요하다. 유럽의 동맹국과 한일 등의 동맹국이 무엇이 다른지 알아야한다.
신뢰의 결여, 그리고 선택
미국의 요구를 다 수용하고 들어줄 것인지, 원칙을 세우고 그 원칙에 따라 수용할 것인지 정해야 할 때이다.
국제관계도 인간사회의 관계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인문학으로 돌아가 냉철하게 생각하자. 시간이 걸리더라도 원칙을 가지고 대한다면 미국도 동맹국으로써 우리를 대할 것이다.
평소 미국과의 관계에 비해 베트남 전쟁에 대해 이렇다 할 뚜렷한 주관도 그것을 뒷받침 할 만한 지식도 없던 제가 이 강좌를 들으면서 리영희 선생님의 책을 읽고 강의를 듣고 다른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많은 것을 배우고 알아가는 것을 느껴요. 강의가 진행될수록 바로 알고 기억해야겠다는 생각이 참 많이 듭니다. 내일 있을 다음 강의가 기대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