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후기 l 강좌 후기를 남겨주세요
[다시 보는 프랑스 혁명사] 3,4 강 후기!
3강. 인물로 보는 프랑스 혁명 - 당통, 브리소, 로베스피에르, 루이16세, 브리소
프랑스 혁명 당시의 모습을 묘사한 혁명화를 함께 감상하며 수업을 시작했습니다. 치열한 전투, 학살, 국왕 재판, 삼부회의, 왕비의 모습 등 당시의 긴박함과 사람들의 모습이 잘 묘사되어 있었습니다. 3강의 주제는 ‘혁명의 향배와 의미에 큰 영향을 끼친 인물 20선’이었습니다. 혁명에서 개인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 살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루이 16세 국왕부터 혁명기 언론인으로 두각을 나타낸 에베르까지 다양한 인물을 살펴봤습니다. 다행히 당통, 로베스피에르 등 익숙한 이름을 가진 이들도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당통은 법률가 출신으로 파리코뮨의 실력자였습니다. 군주제의 몰락에 기여 했고, 법무장관에 올라 임시행정내각의 실세가 되기도 했습니다. 핵심적인 권력체였던 공안위원회를 주도하고 공포정치를 지원했지만 발병으로 고향에 머물렀습니다. 관용파로 몰려 체포, 사형됩니다. 로베프 피에르도 그랬지만, 과도한 업무로 당통과 같이 질병에 시달려 사망한 사람이 많다고 합니다.
* 공안위원회: 사실 합법적 혁명권력체로는 국민공회(단원제)가 있었습니다. 21개 위원회를 통해 행정부를 지휘하는 권력체였습니다. 이 가운데 중요한 것이 공안위원회와 치안위원회였습니다. 특히 공안위원회는 정부 행위의 모든 분야를 관장해, 국민공회가 해산할 때까지 사실상의 정부 기구 그 자체 였습니다 1973년 여름에서 열월의 반동에 이르는 공포정치의 절정기(1년 여간)에 영웅적인 활동을 펼쳤습니다.
이어 로베스 피에르 역시 법률가 출신입니다. 엘리트로서 봉기코뮨을 거쳐 국민공회 의원이 됩니다.아까 말씀드렸던 공안위원회 위원이 되면서 죽을 때까지 혁명 정부 및 공포정치의 최고 지도자로 남습니다. 혁명의 상승기인 5년을 통째로 겪은 몇 안되는 인물 중 하나였습니다. 이러한 급격한 시류 속에서 로베스 피에르 역시 몰락직전 과로로 병사합니다. 흡혈귀, 부패시킬 수 없는 자와 같은 별명을 갖고 있다고 합니다. 그의 결벽증적 성격을 보여주는 대목입니다. 말과 행동을 일치시켜 살았던 혁명가였다고 합니다. 1974년 봄, 권력의 정점에 서면서 공포정치의 책임자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이 둘 외에도 착하지만 무능했다는 루이 16세(루이 15세의 손자)와 왕비, 방데 반란(귀족 반란)을 이끌었던 샤레트, 국왕재판에서 ‘왕이기 때문에 죽어야 한다’고 주장한 생쥐스트, 대표적 혁명 순교자인 마라 등 다양한 인물을 공부했습니다. 국왕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시세의 흐름에 민감한 자유주의 귀족이나 수재형 인재, 자유전문직업인들(법률가 등)이었습니다. 눈에 띠는 점은 이들의 연령이 비교적 짧다는 점입니다. 이들의 평균연령이 36.7세 임을 고려할 때 그들과 함께 혁명을 주도했던 이들은 이보다 더 어리다고 짐작할 수 있습니다. 혁명가들이 권력의 정점에 있던 시기는 보통 우리 생각보다 짧습니다. 혁명이 급격하게 진화하면서 대부분 사태에 추월당했기 때문입니다. 극좌가 어느새 보수가 되는 이념 정치 변형이 일어났던 셈입니다. 엄청난 수의 사람들이 혁명에 가담하면서 누구도 통제할 수 없는 흐름을 만들었습니다. 당통의 몰락이나 로베스 피에르의 몰락도 그런 흐름 속에 있기에 볼 수 있는 사건입니다
4강. 레 미제라블을 통해본 혁명과 반동의 역사
레미제라블을 통해 프랑스 혁명을 살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최갑수 교수님이 직접 발췌한 부분들을 함께 읽으며 다양한 사건의 성격, 혁명 철학, 혁명 등에 대해 서술한 부분을 읽었습니다. 빅토르 위고는 공화주의자가 된 이후 이 책을 집필하기 시작했습니다. 공화주의가 대안이라는 메시지를 부르주아에게 주기 위해서입니다. 나폴레옹 3세에 반대해 망명생활을 하면서도 집필을 이어갔습니다. 제2제정이 몰락하고서야 망명생활을 끝내고 파리에 옵니다. 이후 하원·상원 의원으로 선출되기도 합니다. 빅토르 위고가 민중에 대한 애정을 이 책에서 보여줬다면 찰스 디킨스는 군중에 대한 공포를 녹여 두도시 이야기를 썼습니다.
레미제라블은 최남선이 1910년에 소설의 극히 일부분을 중역해 알린 것을 시작으로 최근 민음사 등에서 원전>>우리말로 옮긴 완역판이 처음 나왔습니다. 1권의....100페이지를 채 읽지 못하고 접어두었는데 다시 시도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번쩍 들었습니다!
방대한 양의 책 발췌부분을 함께 읽고 대선 이후 화제가 된 영화 레미제라블의 열풍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대선 직후 개봉하자마자 보신 분도, 저처럼 아직 보지 않으신 분들도 있었습니다. 최갑수 교수님의 자료를 보면 보편적 휴머니즘과 함께, 7월 혁명 이후와 오늘날의 우리와 ‘역사적 유사성’의 존재, 빈부의 엄청난 차이, 법의 공정성 문제, 민주화의 역사적 성과 한계 등이 레미제라블 현상을 가져온 게 아닌지 추측하고 계십니다.
프랑스 혁명 이후에도 프랑스가 오늘날의 복지국가로 탄생하기까지 수많은 시간이, 그리고 희생이 있었습니다. 1세기에 달하는 치열한 계급투쟁 끝에 2차 세계대전 이후에야 복지국가적, 사회민주주의적 합의의 기본틀이 만들어졌습니다. 자본주의 철폐를 주장하는 노동자 세력에게 그들의 요구를 일정 부분 수용한 체제가 안착한 셈입니다. 여전히 끊임없는 권리를 요구하는 프랑스 시민의 모습을 종종 국제뉴스에서 만날 수 있습니다. 수 세기에 걸쳐 이뤄낸 성과와 더 나은 미래가 가능하다는 믿음이 그 원동력이 아닌지 생각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