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후기 l 강좌 후기를 남겨주세요
[꿈투사 워크숍] 꿈. 무의식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힘이 세다
꿈. 무의식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힘이 세다
마리 홀 에츠<숲 속에서>
10주간의 그룹 꿈투사 여행을 마무리 지으며, 언제부터 꿈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을까? 란 물음이 올라왔다. 돌이켜보니 어릴적부터 원형이 꿈틀대는 옛이야기를 무척 좋아했지 싶다. 그래서 아이를 낳으면 이야기와 함께 키울거라고, 그 이야기가 세상과 만나는 접점을 만들어줄 거라고 나름 다짐했지만 살다보니 외부에 보여주기 그럴듯한 성을 짓는데 급급해서 이야기도 잊어버리고 꿈꾸기도 잊어버렸다. 그런데 -재미있게도- 출산 후 아이에게 이야기를 읽어주면서 꿈이 찾아오기 시작했다. 전과 다른 결을 가진 꿈들이었다. 온갖 동물들, 미라가 된 나의 모습, 성이 무너져 내리는 꿈들... 그 즈음 팟캐스트를 통해 고혜경 선생님 꿈 강의를 듣고 나의 무의식이 내게 이렇게 살아가야 하지 않겠느냐고 건네는 이야기가 밤마다 꿈으로 찾아온다는 것을 깨달았고, 동시에 너무 알고 싶었다. 내 꿈이 나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바가 무엇인지...
10번의 만남,18개의 꿈 투사를 통해 내가 꿈 속 주인공이 되어 그 속을 거닐며 나의 본연의 힘과 감정, 치부들을 하나하나 면밀히 살펴보고 발견하는 시간을 경험할 수 있었다. 관계안의 부침이 어디서 기인하는 것인지, 내가 잃어버린 보석은 무엇이었는지, 관계의 삐걱거림 조차 내가 외면하고 냉랭히 대했던 나의 어떤 면의 역동이었음을 절절히 알아차릴 수 있는 매 순간이었다. 함께 한 꿈 친구들의 꿈을 통해 지나간 20대의 나를 다독여줄 수 있었고, 카프카의 <변신>의 그레고리처럼 먹고 사는 데 급급해 감정이 바닥났던 날 울게 해주는 계기를 만들어줬다. 또 언젠가 본 그림책의 꼬마 주인공처럼 숲의 동물들과 음악대 행진을 하는 장면을 떠올리게 하는 꿈은 내 안에 있는 본능과 조우하는 찰나를 선사해줬으며 본능의 힘을 믿고 <마당을 나온 암탉>의 잎싹처럼 닭장을 헤치고 나가 너른 황금 들녘의 벼이삭을 맛볼 수 있을 거란 가능성을 열어주는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대중에게 널리 알려진 문학 작품들도 어쩌면 작가들이 꾼 꿈의 재현이 아닐까? 정말 나 다움이 뭔지, 나로 살지 못하는 시간 동안 잃어버린 것은 무엇인지를 성찰해볼 수 있는 시간을 나의 꿈을 비롯 다른 이들의 꿈에서 들여다볼 수 있음은 경이로운 울림으로 다가왔다.
아기 때는 걷는다고 박수받고 넘어지면 함께 아파해주는 시선과 만져주는 손길이 있었다. 그런 기억조차 가물거리는 지금, 서로의 꿈을 온 마음으로 들여다 보며 때론 감동하고 때론 함께 아파하며 나다움의 길을 찾아가는 데 힘을 보태줄 수 있는 체험은 얼마나 값진지. 꿈은 차별하지 않는다. 잠들면 누구에게나 선물처럼 찾아드는 꿈, 그 꿈을 들여다 본다는 황홀함을 경험할 수 있는 복된 시간에 감사한다.
융 "나의 생애는 무의식의 자기 실현의 역사다"
제레미 테일러 "꿈으로 들어가 다시 살아나라"
저 문장들이 가슴으로 와서 꽂히는 경험은 2022년에 내가 나에게 준 가장 큰 선물이었음을!
이번 그룹 꿈 투사 여정을 거치며 건져 올린, 알아차린 내면의 울림을 이제 실제 삶으로 가져와 나 답게 깨어나 살아가라는 뜻임을!
벌써 다음 꿈 모임이 기다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