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후기 l 강좌 후기를 남겨주세요
"왜?"냐고 묻는다면
<시민의 눈으로 과학기술을 보다> 3강
후기입니다.강의 시간에 다루신 주제와 조금 다른 접근을 해봤습니다. 어디까지나 사견이니 강의 내용과 혼동 없으시길 바랍니다.
- 자원활동가 한광희
3월 중순까지 눈이 내렸다. 벌써 봄꽃들이 만발했을 만도 한데, 이제야 꽃망울을 터뜨리고 있다. 아직도 쌀쌀했다가 따뜻하길 반복해서 겨울외투는 오늘도 옷장을 들락날락하고 있다. 이 와중에 태평양 어디 즈음에 있는 섬나라 투발루는 이미 수도가 물에 잠겼고 유적도 남기지 못하고 역사 속으로 수장되는 중이라고 한다. 이유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란다. 극명한 대조다. 이미 투발루는 콜라병에 새겨진 북극곰과 함께 ‘뜨거운 지구’를 상징하는 이미지로 각인되었다. 다분히 감정적인 이미지는 상식의 차원을 넘어 정치적 구호를 생산한다. 교토를 지나 코펜하겐까지 기후협약은 무시할 수 없는 세기의 화두가 되었다.
엄춘설한에 지구온난화가 왠 말인가? 무슨 근거로 지구가 뜨거워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이러한 주장은 유엔 산하 기후변화 연구기구인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 의해 꾸준히 제기되고 담론화되었다. IPCC와 엘 고어에게 노벨상수상의 영광을 안겨준 2007년 보고서(4차)는 지난 100년(1906∼2005년)간 전 지구 평균온도는 0.74도 상승했고 북극의 바닷물이 얼어붙는 해빙(海氷)범위는 1978년 이후 10년에 2.7%씩 감소했으며 지구 평균해수면은 1993년 이후 연간 3.1㎜씩 상승했다고 밝힌다. 이들은 해수 온도측정이나 위성 관측 등 객관적인 방법을 동원한 것이므로 신뢰할 수 있다고 한다.
IPCC가 내세우는 객관적인 자료는 통계다. 숫자와 그래프가 온도상승폭을 보여주거나 예측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나비효과처럼 난데 없이 타격을 입은 태평양 도서국가의 현실, 녹아내리는 빙하, 천재지변을 겪고 있는 제3국가들이 오버랩된다. 놀랍게도 서로다른 시각적 지표들은 서로 얽혀 강력한 인도적 동참을 요구하고 동원시키는 정치적 구호가 된다. 물론 과학은 숫자들을 나열하고 묵시록적인 미래를 예측하는데 총력을 쏟는다. 온난화가 과장된 미래예측이라 폄하하는 입장에서도(브외른 롬보그Bjorn Lomborg로 대표되는 회의주의자들) 역시 똑같은 측정과 숫자 놀음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이 순간 숫자가 난무하는 보고서는 경전이 된다. 말하자면 기후변화 훈고학의 탄생이다. 지구온도 측정들을 위해 어떤 최신 기술들이 동원되고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결론은 50여년 전에 나온 로마클럽보고서의 양식을 그대로 Ctrl+V 한 것은 아닐까 생각할 정도다.
말이 나온 김에 강의시간엔 다뤄지지 않았던 IPCC의 뒷얘기를 해볼까 한다. 지난해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기후변화회의는 세계정상들을 한 자리에 모았다. 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킬만한 스케일이었다. 해당 회의는 IPCC의 ‘과학적인’ 보고서에 기초해 열린 셈이다. 문제는 과학적인! IPCC 보고서에서 심심치 않게 오류를 찾을 수 있다는 점이다.
가장 큰 사례는 빙하게이트(Glacier Gate)다. IPCC는 2007년 발표한 제4차 보고서에서 “2035이면 히말라야 빙하가 녹아 없어질 것”이라고 적었다. ‘히말라야빙하 소멸설’이다. 결론은 IPCC가 해당 안건이 과학적 근거가 없는 헛소리였음을 인정하면서 일단락 됐다.(자세한 내용은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40100125131416&Section=05&page=1) 물론 이에 대한 문제제기는 IPCC외부에서 나온 것이다. IPCC는 내부적인 검토를 거쳤다면 분명히 발견했을만한 불명확한 부분을 알면서도 보고서에 실었다. 영국의 더 타임스는 위원장인 라젠드라 파차우리가 연구비 충당을 위해 허위내용을 보고서에 실었다고 주장한다.(http://www.timesonline.co.uk/tol/news/environment /article6999975.ece) 문제는 파차우리 개인의 영욕이 아니다. 어째서 내부 과학자들 역시 동조했느냐는 점이다.
설상가상으로 세계적 기후변화연구소인 영국 이스트앵글리아대 기후연구센터의 서버가 해킹돼 이메일 1000여 통과 문건 3000여 건 등이 유출됐다. 이 연구소가 1996년부터 13년 동안 진행한 기후변화 연구 결과와 관련된 것이었다. 이메일과 문건 내용 일부가 인터넷 사이트와 언론보도를 통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이 센터 소속 과학자들이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이 급박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특정 연구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거나 연구 과정에서 데이터를 조작했다는 의심을 제기했기 때문이다. 또 지구 온난화가 시급한 과제가 아니라는 학자들의 논문이 주요 학술지에 공개되지 않도록 분위기를 조성한 흔적도 나타났다. 주요 언론들은 이 사건에 워터게이트 사건을 본떠 ‘기후게이트(climate gate)’라는 이름을 붙였다.(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5& artid=200912171056521)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라는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이들은 순수한 과학자들로 이루어진 집단이 아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과학적 사실이 100% 무의미한 조작물이라고 단정 짓는 것이 대안은 아니다. 우리의 사고를 조금만 바꿔서 과학과 정치 또는 사회와의 경계를 조금만 흐리게 하는 건 어떨까? 과학이 불확실한 만큼 사회도 불확실하다. 남녀탐구생활이란 프로그램이 생각날 정도로 우리는 과학을 몰라요. 과학도 우리를 몰라요. 결론은 냉소적 과학비판일 뿐이다. 때때로 냉소주의는 무시를 넘어 험악한 음모론으로 흐르기까지 한다. 실제 IPCC 보고서에서 드러난 과장된 오류는 보다 작은 과학적 검증을 거친 명백한 위험들까지 초록에 동색을 입히고 있다. 생태적 회의주의자 또는 반과학주의자들은 온난화는 뻥이라는 주장을 불확실한 상상적 서사로 완성할 뿐이다. 씁쓸하지만 공평하게 매우 대칭적인 구도다.
IPCC와 관련된 크고 작은 잡음과 관계없이 국제정치적 장(場)에서 온실가스감축은 최대 이슈가 되고 있다. 냉전시대 이후로 이런 지구적 동맹이 있었을까 싶다. 그리고 공공의 적으로 온실가스를 지명한다. 대다수의 국가들은 아이러닉하게도 썩어도 준치라고 시장 패러다임을 선수로 내세운다. 바로 탄소배출권거래제(Emission Trade, Cap and Trade)다. 간단히 설명하면 국가, 기업, 개인의 수준에 탄소배출허용량(CERs)을 설정하고 잉여량에 대해 거래를 인정하자는 제도다. 시장논리에 따라 배출량이 조절될 것이라는 믿음이다. 이미 유럽에선 국가 간 배출권 거래제가 시행중이고 대다수 1세계 국가들은 탄소시장도입에 긍정적인 반응이다. 대한민국 정부 역시 2011년부터 시행예정이다.
아무래도 탄소배출권거래제가 다양한 온실가스 중 탄소에 한정하다보니 원자력도 녹색에너지가 되는 모양새다. 우선 탄소배출량을 추산하는 회계과정을 거칠 것이다. 이 과정에서 단순 생산만 집계하거나 모든 생산물과 생활양식에 기준 탄소배출량을 부과하는 식의 집계방식의 논의가 있을 것이다.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든 우리의 삶에 숫자하나가 늘어나는 것은 자명하다. 기후문제는 국내 기후와 요원하다는 애초 생각과는 달리 평행선을 그으며 진행 중이다. 기후변화 없이도 기후가 삶에 영향을 끼치는 거대담론이 되는 과정이다. 이 지점에서 기후변화는 지식의 정치와 맞닿는다.
홀몸으로 거대담론과 상대하기란 매우 벅찬 일이다. 우선 지식이 된 담론은 인식의 지평에 서서히 스며든다. 따라서 문제를 제기하기 힘든 일상적 상황으로 몰고 간다. 마치 안개 낀 새벽녘에 길을 걷는 것처럼 경험적인 감각에 의지해야 한다. 물론 선험적인 지식에 반기를 드는 건 우연에 의한 것일 수도, 외부적 계몽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다시 지식은 형성될 것이고 또 다른 담론이 시작된다. 꼬리에 꼬리를 물고 늘어지는 지식의 연쇄과정에서 개인의 선택은 되묻는 것이다.
이번 강의에서 다룬 화석연료와 핵발전에서 대체에너지로의 전환은 위와 같은 탄소배출량과 탄소시장의 담론지형에 배치 될 수도 있다. 한편, 1점 전력생산 방식에서 다점 생산방식으로 전환과 같은 논의는 에너지 공동체라는 새로운 형태의 교환형식을 만들 운동의 가능성도 있다. 모든 것의 시작은 지식이 형성되고 유포되는 시점에 던진 “왜?”라는 질문에서 시작한다. 질문의 층위는 정치가 작동하는 모든 부분이다. 과학적 결과물에 대한 성찰과 정치적 구호와 실천에 대한 성찰은 다소 불편하지만 불확실한 것에 대처하며 살아가는 현명한 방법이다.
3월 중순까지 눈이 내렸다. 벌써 봄꽃들이 만발했을 만도 한데, 이제야 꽃망울을 터뜨리고 있다. 아직도 쌀쌀했다가 따뜻하길 반복해서 겨울외투는 오늘도 옷장을 들락날락하고 있다. 이 와중에 태평양 어디 즈음에 있는 섬나라 투발루는 이미 수도가 물에 잠겼고 유적도 남기지 못하고 역사 속으로 수장되는 중이라고 한다. 이유는 ‘지구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란다. 극명한 대조다. 이미 투발루는 콜라병에 새겨진 북극곰과 함께 ‘뜨거운 지구’를 상징하는 이미지로 각인되었다. 다분히 감정적인 이미지는 상식의 차원을 넘어 정치적 구호를 생산한다. 교토를 지나 코펜하겐까지 기후협약은 무시할 수 없는 세기의 화두가 되었다.
엄춘설한에 지구온난화가 왠 말인가? 무슨 근거로 지구가 뜨거워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을까? 이러한 주장은 유엔 산하 기후변화 연구기구인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에 의해 꾸준히 제기되고 담론화되었다. IPCC와 엘 고어에게 노벨상수상의 영광을 안겨준 2007년 보고서(4차)는 지난 100년(1906∼2005년)간 전 지구 평균온도는 0.74도 상승했고 북극의 바닷물이 얼어붙는 해빙(海氷)범위는 1978년 이후 10년에 2.7%씩 감소했으며 지구 평균해수면은 1993년 이후 연간 3.1㎜씩 상승했다고 밝힌다. 이들은 해수 온도측정이나 위성 관측 등 객관적인 방법을 동원한 것이므로 신뢰할 수 있다고 한다.
IPCC가 내세우는 객관적인 자료는 통계다. 숫자와 그래프가 온도상승폭을 보여주거나 예측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나비효과처럼 난데 없이 타격을 입은 태평양 도서국가의 현실, 녹아내리는 빙하, 천재지변을 겪고 있는 제3국가들이 오버랩된다. 놀랍게도 서로다른 시각적 지표들은 서로 얽혀 강력한 인도적 동참을 요구하고 동원시키는 정치적 구호가 된다. 물론 과학은 숫자들을 나열하고 묵시록적인 미래를 예측하는데 총력을 쏟는다. 온난화가 과장된 미래예측이라 폄하하는 입장에서도(브외른 롬보그Bjorn Lomborg로 대표되는 회의주의자들) 역시 똑같은 측정과 숫자 놀음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이 순간 숫자가 난무하는 보고서는 경전이 된다. 말하자면 기후변화 훈고학의 탄생이다. 지구온도 측정들을 위해 어떤 최신 기술들이 동원되고 있는지는 모르겠으나, 결론은 50여년 전에 나온 로마클럽보고서의 양식을 그대로 Ctrl+V 한 것은 아닐까 생각할 정도다.
말이 나온 김에 강의시간엔 다뤄지지 않았던 IPCC의 뒷얘기를 해볼까 한다. 지난해 코펜하겐에서 개최된 기후변화회의는 세계정상들을 한 자리에 모았다. 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킬만한 스케일이었다. 해당 회의는 IPCC의 ‘과학적인’ 보고서에 기초해 열린 셈이다. 문제는 과학적인! IPCC 보고서에서 심심치 않게 오류를 찾을 수 있다는 점이다.
가장 큰 사례는 빙하게이트(Glacier Gate)다. IPCC는 2007년 발표한 제4차 보고서에서 “2035이면 히말라야 빙하가 녹아 없어질 것”이라고 적었다. ‘히말라야빙하 소멸설’이다. 결론은 IPCC가 해당 안건이 과학적 근거가 없는 헛소리였음을 인정하면서 일단락 됐다.(자세한 내용은 http://www.pressian.com/article/article.asp?article_num=40100125131416&Section=05&page=1) 물론 이에 대한 문제제기는 IPCC외부에서 나온 것이다. IPCC는 내부적인 검토를 거쳤다면 분명히 발견했을만한 불명확한 부분을 알면서도 보고서에 실었다. 영국의 더 타임스는 위원장인 라젠드라 파차우리가 연구비 충당을 위해 허위내용을 보고서에 실었다고 주장한다.(http://www.timesonline.co.uk/tol/news/environment /article6999975.ece) 문제는 파차우리 개인의 영욕이 아니다. 어째서 내부 과학자들 역시 동조했느냐는 점이다.
설상가상으로 세계적 기후변화연구소인 영국 이스트앵글리아대 기후연구센터의 서버가 해킹돼 이메일 1000여 통과 문건 3000여 건 등이 유출됐다. 이 연구소가 1996년부터 13년 동안 진행한 기후변화 연구 결과와 관련된 것이었다. 이메일과 문건 내용 일부가 인터넷 사이트와 언론보도를 통해 급속도로 확산되면서 논란이 불거졌다. 이 센터 소속 과학자들이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이 급박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특정 연구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거나 연구 과정에서 데이터를 조작했다는 의심을 제기했기 때문이다. 또 지구 온난화가 시급한 과제가 아니라는 학자들의 논문이 주요 학술지에 공개되지 않도록 분위기를 조성한 흔적도 나타났다. 주요 언론들은 이 사건에 워터게이트 사건을 본떠 ‘기후게이트(climate gate)’라는 이름을 붙였다.(http://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code=115& artid=200912171056521)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라는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이 이들은 순수한 과학자들로 이루어진 집단이 아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과학적 사실이 100% 무의미한 조작물이라고 단정 짓는 것이 대안은 아니다. 우리의 사고를 조금만 바꿔서 과학과 정치 또는 사회와의 경계를 조금만 흐리게 하는 건 어떨까? 과학이 불확실한 만큼 사회도 불확실하다. 남녀탐구생활이란 프로그램이 생각날 정도로 우리는 과학을 몰라요. 과학도 우리를 몰라요. 결론은 냉소적 과학비판일 뿐이다. 때때로 냉소주의는 무시를 넘어 험악한 음모론으로 흐르기까지 한다. 실제 IPCC 보고서에서 드러난 과장된 오류는 보다 작은 과학적 검증을 거친 명백한 위험들까지 초록에 동색을 입히고 있다. 생태적 회의주의자 또는 반과학주의자들은 온난화는 뻥이라는 주장을 불확실한 상상적 서사로 완성할 뿐이다. 씁쓸하지만 공평하게 매우 대칭적인 구도다.
IPCC와 관련된 크고 작은 잡음과 관계없이 국제정치적 장(場)에서 온실가스감축은 최대 이슈가 되고 있다. 냉전시대 이후로 이런 지구적 동맹이 있었을까 싶다. 그리고 공공의 적으로 온실가스를 지명한다. 대다수의 국가들은 아이러닉하게도 썩어도 준치라고 시장 패러다임을 선수로 내세운다. 바로 탄소배출권거래제(Emission Trade, Cap and Trade)다. 간단히 설명하면 국가, 기업, 개인의 수준에 탄소배출허용량(CERs)을 설정하고 잉여량에 대해 거래를 인정하자는 제도다. 시장논리에 따라 배출량이 조절될 것이라는 믿음이다. 이미 유럽에선 국가 간 배출권 거래제가 시행중이고 대다수 1세계 국가들은 탄소시장도입에 긍정적인 반응이다. 대한민국 정부 역시 2011년부터 시행예정이다.
아무래도 탄소배출권거래제가 다양한 온실가스 중 탄소에 한정하다보니 원자력도 녹색에너지가 되는 모양새다. 우선 탄소배출량을 추산하는 회계과정을 거칠 것이다. 이 과정에서 단순 생산만 집계하거나 모든 생산물과 생활양식에 기준 탄소배출량을 부과하는 식의 집계방식의 논의가 있을 것이다.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든 우리의 삶에 숫자하나가 늘어나는 것은 자명하다. 기후문제는 국내 기후와 요원하다는 애초 생각과는 달리 평행선을 그으며 진행 중이다. 기후변화 없이도 기후가 삶에 영향을 끼치는 거대담론이 되는 과정이다. 이 지점에서 기후변화는 지식의 정치와 맞닿는다.
홀몸으로 거대담론과 상대하기란 매우 벅찬 일이다. 우선 지식이 된 담론은 인식의 지평에 서서히 스며든다. 따라서 문제를 제기하기 힘든 일상적 상황으로 몰고 간다. 마치 안개 낀 새벽녘에 길을 걷는 것처럼 경험적인 감각에 의지해야 한다. 물론 선험적인 지식에 반기를 드는 건 우연에 의한 것일 수도, 외부적 계몽에 의한 것일 수도 있다. 여기서 다시 지식은 형성될 것이고 또 다른 담론이 시작된다. 꼬리에 꼬리를 물고 늘어지는 지식의 연쇄과정에서 개인의 선택은 되묻는 것이다.
이번 강의에서 다룬 화석연료와 핵발전에서 대체에너지로의 전환은 위와 같은 탄소배출량과 탄소시장의 담론지형에 배치 될 수도 있다. 한편, 1점 전력생산 방식에서 다점 생산방식으로 전환과 같은 논의는 에너지 공동체라는 새로운 형태의 교환형식을 만들 운동의 가능성도 있다. 모든 것의 시작은 지식이 형성되고 유포되는 시점에 던진 “왜?”라는 질문에서 시작한다. 질문의 층위는 정치가 작동하는 모든 부분이다. 과학적 결과물에 대한 성찰과 정치적 구호와 실천에 대한 성찰은 다소 불편하지만 불확실한 것에 대처하며 살아가는 현명한 방법이다.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IPCC와 얽혀진 일련의 사태를 보니 "내추럴리 데인저러스"라는 책이 생각났습니다.
이 책은 "화학비료보다 자연비료(동물의 배설물)가 더 위험하다" 등 유기농이라 일컬어지는 자연제품들이 오히려 화학제품보다 더 위험하다는 주장을 과학적인 근거를 통해 설명하고 있다 합니다.
신문서평:
아무도 알려주지 않은 유기농의 진실(http://book.daum.net/detail/media/read.do?bookid=KOR9788993285161&seq=303049&revPageNo=1)
유기농이 더 위험하다고?(http://book.daum.net/detail/media/read.do?bookid=KOR9788993285161&seq=387424&revPageNo=1)
(책을 읽지 않고 이렇게 단정짓는 게 위험할 수도 있으나)
자연제품이 화학제품보다 위험하다는 "과학적인 근거"(A)는 또한 화학제품이 자연제품보다 더 위험하다는 "과학적인 근거"(B)에 묻힐 수도 있다고 봅니다.
A와 B가 그 내용 자체만으로는 "진실"이라 할 수 있을지라도, 둘은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과학적 사실"일 뿐이지 A=B라고 볼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이 둘을 가지고 벌어지는 가치판단은 결국 인문의 눈으로 해야 하지 않을까요?
"과학기술의힘"이 가지고 있던 절대반지는 이미 깨지기 시작했습니다.
절대반지의 망령에서 벗어나 더 넓은 진실과 대면할 수 있는 흥미진진한 수업이 2번밖에 안 남아서 아쉽네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