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후기 l 강좌 후기를 남겨주세요
박노자 특강 - 다시 보는 20세기의 두 혁명 (1강)
박노자 특강 - 다시 보는 20세기의 두 혁명
1강 : 1917, 러시아 혁명 100년 : 잊혀진 혁명, 해방의 기획
주제별 요약입니다 :)
1)농민들이 왜 사회주의자들의 편이 됐을까?
-러시아에서는 지속되는 황제정치의 횡포와, 궁핍한 생활에 대해 농민들의 불만이 쌓이게 되었다. 이는 시위로 이어지고 군인들도 참여하여 소비에트 결성을 이룬다.
-당시 생산력은 낮은 수준에 머물렀으며, 대다수의 토지도 상인과 부농들이 소유했기 때문에 다수의 중농과 빈농들은 극심한 토지부족에 시달렸고, 동시에 기근으로 인한 사망자는 60만명에 이르렀다. 때문에 농민들은 토지의 사적 소유가 흉작에 대비할 수 있는 보험이 되지 못한다고 생각하여 농지 사유원칙을 부정하는 사회주의 세력을 지지하게 되었다.
2)혁명 전/후 관료체제 : 연속과 단절
-혁명 전 러시아는 귀족층이 관료제를 통해 농민을 지배하는 구조였다, 레닌은 이념적으로는 관료제는 해체하고, 직접생산-직접 민주주의 실현을 주장하였다. 그러나 현실의 혁명 후 볼셰비키들은 관료제의 상부만 혁명운동 관련자로 교체하고, 나머지 부분은 이전과 같이 유지하였다. 이에 농노출신 새 간부들은 자신을 특권계층으로 고착시켰다.
-신경제정책의 시행과 간부들의 부패가 심해지고, 농민들은 관료제 속 사유화에 대한 반감을 갖게 되어 이는 스탈린 독재에 대한 지지의 기반이 되기도 하였다.
3) 소수자들의 혁명, 세계혁명의 불씨
-제정정권 때 러시아에서 러시아인은 44%에 그쳤고, 나머지는 제정 권력과 마찰 가능성이 있는 소수자였다. 우크라이나는 고유한 민족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유대인과 이슬람교도들은 차별아래 있었다.
-볼셰비키들은 소수자들의 분리독립 대신 소수자 간부양성, 지식인 양성, 문화양성 등의 토착화 정책을 실시했다. 이러한 정책들은 소련구성 민족들의 민족의식 형성에 기여하였다.
4)급진적 여성 해방, " 붉은 연애" 담론이 태어난다.
-볼셰비키들은 초기에 여성 해방정책을 실시하였다. 여성들은 선거권, 이혼권, 낙태권리, 평등한 재산권을 얻었다. 또한 공산당 내 여성부 신설로 차별사례에 대한 접수, 처리가 이루어지고 임산부, 출산여성에게 유급휴가를 지급하는 등 여성복지제도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여성들은 실질적인 권력으로부터 배제되어 있었고, 스탈린 정부가 낙태금지, 이혼수속 복잡화, 여성부를 철폐하며 여성해방보다 여성노동력 동원에만 힘쓸 때 적극적으로 저항 할 수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