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후기 l 강좌 후기를 남겨주세요
역사학자 5인에게 시대의 길을 묻다 - 독립운동에서 2017년의 길을 찾다, 김정인
강의 첫 시간, 김정인 교수님께서는 ‘독립운동’이라는 하나의 주제를 다양한 관점에서 하나하나 분석해 주셨습니다. 자치의 공간, 여러 주체의 탄생, 권리를 위한 투쟁, 사상의 향연, 법에 맞선 정의, 비폭력의 연대로 나누어 살펴보고 2017년 오늘 우리 사회 현실과 나아갈 방향을 찾아볼 수 있도록 해 주셨습니다.
강의 내용을 지면으로 옮겨 보겠습니다.
◦독립을 꿈꾸는 민주주의
▪우리는 이에 우리 조선이 독립국임과 조선인이 자주민임을 선언한다. 이로써 세계 만국에 알려 인류 평등의 큰 도의를 분명히 하는 바이며, 이로써 자손만대에 깨우쳐 일러 민족의 독자적 생존의 정당한 권리를 영원히 누려 가지게 하는 바이다.(3.1 독립선언서 中)
- 독립국, 자주, 평등, 생존의 정당한 권리가 바로 우리 독립의 근거들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들 사이에는 민주주의가 남아돌 정도로 많았다.(김산의 말, 님 웨일즈의 ‘아리랑’에서)
- 독립운동 자체가 민주주의 원리에 의해 움직인다는 의미입니다.
◦자치의 공간
▪주권 자치의 공간, 임시정부
1919. 2. 28. (3.1.운동보다도 먼저) 연해주에 설립되었다.(3.1.운동으로 임시 정부가 세워진 것이 아니다. 3.1.운동은 독립운동을 자극하고 활성화했다.)
임시정부는 군주정이 아닌 공화정을 표방했다. 헌법(대한민국 임시헌장)은 정부의 정당성을 유지시켜 주었다.
임시정부가 승인을 받기 위한 외교 노력은 계속되었다. 중국도 승인하려고 했지만, 결국은 실패한다. 미국이 일찍부터 신탁통치를 생각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자발적 결사체, 인민자치
국회라 할 수 있는 임시의정원이 있었으며, 지역별로 나누어 실제 투표로 선출했다. 대의제에 대한 훈련도 되어있었다.
사회주의정당, 민족유일당운동, 독립운동정당 세 갈래의 정당운동이 있었다.
합법적인 전국적 정치 결사인 신간회가 있었다. 3년간 활동 후, 사회주의 노선에 의하여 깨지고 만다. 일제 치하라는 영향도 있었다.
◦주체의 탄생
▪선봉대로서의 학생
휴교령과 동맹 휴학의 시대였다. 학생회를 만들자는 자치체를 획득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광주학생운동은 12월3일에 발생하여 다음 해 3, 4월까지 계속되었다. 이는 학생시위의 전국화였다.
▪노동자
1923년에는 농민이 더 많아 조선노농총동맹이 결성되었다. 1927년에는 농민과 노동으로 갈라져 노농운동에서 노동운동이 되었다.
임금 격차와 같은 민족차별로 인해 생존권을 위한 파업을 벌였다. 이러한 노동쟁의의 정점은 1929년 원산 총파업이다.
▪여성
여성 스스로 여성을 깨우치려 했던 조선여자교육회는 유료 강연 수익금으로 야학을 열기도 했다. 여성계의 민족협동전선인 근우회는 실제로 많은 사회주의자들이 활약했다.
▪청년, 어린이
청년이라는 용어는 19세기 말에 등장했다. 청소년이라는 관념도 이때 처음 생겼다.
◦권리를 위한 투쟁
▪언론운동, 자유롭게 말할 권리를 달라
언론은 현대인의 권리다. - 동아일보 1926년 8월 4일
▪형평운동, 인간답게 살 권리를 위한 투쟁
1894년 갑오개혁으로 더 이상 ‘백정’이라는 언급은 없어졌다.
조선의 형평운동은 순전히 인권운동에서 시작되었다.
▪교육운동, 차별없는 배움의 권리를 찾고자
일본의 3면1교 정책으로 인해, 학교설립운동이 벌어졌다. 민립(사립)대학 설립 운동과 일반 학교를 못 가는 경우를 위해 서당 설립운동이 일어났다.
◦사상의 향연
▪저항의 절대동력인 민족주의
신민족주의(보편성을 가진 민족주의이어야 한다.) - 조선을 먼저 알아야한다는 조선학을 공부하게 되었다.
▪민족과 계급 사이에서의 사회주의
일제 시대 당시, 최고의 사상이었다. 민족과 계급 사이에서 고민한 흔적이라고 할 수 있다.
▪제3의 사상인 아나키즘(무정부주의)
많은 무정부주의자가 사회주의자가 되었다. 신채호는 민중의 직접 행동을 주장하기도 했는데, 이는 최종적으로 테러로 갈 수도 있었다.
▪대안의 가치인 민주주의
개인의 자유와 권리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법에 맞선 정의
▪고문을 이기고 옥중투쟁에 나서다
대표적인 고문 조작 사건인 105인 사건과 조선어학회 사건이 있다.
옥중 투쟁의 예로 단식 투쟁이 있다. 또한, 1920년 3월 1일에는 3.1.운동 1년을 기념해 옥중에서 만세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비폭력의 연대
▪비폭력의 길, 반폭력의 길
비폭력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비폭력 직접 행동에서 ‘직접 행동’이라는 부분이 핵심이다. 이를 상징하는 것이 “만세시위”이다. 인도에서는 “연좌시위”가 있다.
반폭력으로서의 ‘의열투쟁’은 비폭력을 지향하는 폭력이다. 이는 ‘테러’와 구분되는데, 목표가 정확하고 불특정 다수에게 해를 가하지 않는다.
▪연대만이 살 길이다. 평화를 갈구하다.
◦2017년, 민주주의의 향연
▪문화혁명으로서의 촛불시위 : 자유 평등 연대 평화(집단보다 개인을 더 주목하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