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봄 인문학교
교과서 저자와 함께 하는 동아시아근현대사Ⅰ- 동아시아 근대사 : 전쟁의 기억, 평화의 약속
강사 | 김정인 |
기간 | 2014-04-03 ~ 2014-05-31 |
시각 | 목요일 19:00~21:30 / 토요일 답사 1회 총 10회 |
수강료 | 160,000 원 (참여연대 회원:112,000) |
상태 |
강의소개 |
2014년, 갑오년의 동아시아, 그 어느 때보다 뜨겁다.
역사교과서를 둘러싼 역사 내전도 치열하지만,
한중일 간의 기억을 둘러싼 역사전쟁은 식을 줄 모른다.
독도, 센카쿠 열도를 둘러싼 영토 문제에 덧붙여
일본군위안부, 난징대학살 등 과거사 문제까지
한중일의 현실 정치를 옥죄고 있다.
아직 과거 청산의 문제를 털지 못한 동아시아의 현재를 보며
동아시아적 모순이 결국 전쟁으로 폭발한 1894년 갑오년을 떠올리게 된다.
동아시아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고민과 모색은
곧 동아시아의 과거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지금 고등학교에서는 한국사, 세계사와 함께 동아시아사를 가르치고 있다.
오래도록 동일한 문화 전통을 함께 누리며 살아온
동아시아의 평화로운 미래를 개척하기 위한 길을 찾고자 만든 신생 교과목이다.
우리가 이미 배운 한국사의 사건과 인물도 동아시아사의 눈으로 보면 달라진다.
2년의 긴 여정으로 동아시아 근현대사의 사건과 인물을 탐구하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첫 번째 시간으로 전쟁으로 얼룩진 시대,
그 속에서 평화를 약속하고 실현하고자 노력한 사람들이 함께 했던 시대, 동아시아 근대사를 돌아보고자 한다.
강의 일정 |
날짜
|
순서
|
주제
|
04.03
|
1강
|
동아시아 각국의 개항 모습은 어떻게 달랐을까
동아시아 각국이 서양 세력의 침략 속에 세계를 향해 문호를 개방한 과정을 알아본다.
|
04.10
|
2강
|
전통과 서구가 만나 만들어간 국민 국가의 모습은 어떠했을까
근대 국민 국가를 향한 동아시아 각국의 실험과 정착 과정을 살펴본다.
|
04.17
|
3강
|
청일전쟁은 동아시아 전통 질서를 어떻게 해체했을까
개항 이래 한중일 간 갈등이 전쟁으로 폭발하면서
동아시아에는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본다.
|
04.24
|
4강
|
러일전쟁, 동아시아는 왜 열강의 각축장이 되었을까
열강의 각축 속에 벌어진 러일전쟁은 동아시아 판도에 어떤 영향을 주었을까?
|
05.08
|
5강
|
서양 문명으로의 전환기를 맞아 동아시아 사회는 어떻게 변모했을까
중국 중심 문명이 서양 문명으로 전환되어가는 양상과
그것이 초래한 사회 변화를 살펴본다.
|
05.10
(토)
|
6강
|
답사①: 한국 근대사 공간 속의 동아시아
|
05.15
|
7강
|
제1차 세계대전은 동아시아 각국의 운명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제1차 세계 대전에서 승리하고도 일본과 중국이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하지 못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
05.22
|
8강
|
제2차 세계대전, 거듭되는 전쟁으로
동아시아인은 어떤 고통을 감내해야 했을까
일본의 침략으로 발발한 만주사변, 중일전쟁, 아시아태평양전쟁으로 인해
누구도 전쟁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던 동아시아인의 처지를 살펴본다.
|
05.29
|
9강
|
근대 동아시아인, 민족과 계급의 이름으로 싸우고 연대하다.
거듭되는 전쟁과 식민의 역사 속에서 민족주의와 사회주의는
독립과 평화를 위해 싸우고 연대하면서 동아시아에 어떤 희망을 던졌을까?
|
05.31
(토)
|
10강
|
답사② : 한국 근대사 공간 속의 동아시아
|
※ 토요일 답사장소는 개강 이후 확정합니다
강사소개 |
김정인 춘천교육대학교 교수
참여연대 운영위원회 부위원장,한국 근대 민족 운동사를 전공했다.참여연대 창립멤버로
시민운동의 경험을 바탕으로 최근 민주주의의 눈으로 한국근현대사를 재구성 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논문으로 <근대 한국 민주주의 문화의 전통 수립과 특질>(2013),
<민주주의의 눈으로 보는 역사학>(2013)을 발표했다.
10여 년간 한중일 역사대화에 참여하여 <미래를 여는 역사>(2006) 와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근현대사>(2012)를 한중일 학자, 교사와 함께 공동집필했다.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교과서를 집필했으며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한국사를 성찰하려는 문제의식을 담은 역사컬럼을 <참여사회>에 연재하고 있다.



참고교재 |
고등학교 <동아시아사>, 안병우 외 , 천재교육, 2014
한중일이 함께 쓴 동아시아근현대사1, 한중일3국공동역사편찬위원회, 휴머니스트, 2012
강의정보 |
일 시 : 2014. 04.03 ~ 05.31 목 오후 7시~9시 30분 총10회
장 소 : 참여연대 느티나무홀 (B1)
수강비 : 16만원 (참여연대 회원 30% 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