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봄 민주주의학교
페미니즘, 한국 남자를 말하다
강사 | 최태섭 손희정 |
기간 | 2019-03-13 ~ 2019-03-20 |
시각 | 수 19:00-21:30 총 2회 |
수강료 | 30,000 원 (참여연대 회원:21,000) |
상태 |
본 강좌는 정원 마감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아카데미느티나무
‘한(국)남(자)스럽다’는 어쩌다 모욕적인 말이 되었을까요. 페미니즘 이슈가 뉴스로 등장할 때 마다 왜 남성들은 적개심과 억울함을 표출할까요.
페미니즘 이슈가 종종 젠더 갈등으로 왜곡되는 한국 사회에서 이슈의 중심에 있는 ‘한국, 남자’를 다시 생각해봅니다.
‘진짜사나이’라는 강한 남성을 표준으로 삼고 있는 가부장제로부터의 강박, 양극화된 신자유주의에서 오는 불안 그 사이에 있는 남성들에게 페미니즘은 무엇을 말할 수 있을까요.
왜곡된 남성성에 저항하고픈, 페미니즘 운동에 더 많은 남성을 초대하고픈 당신을 초대합니다.
강좌 일정 및 주제
날짜 |
주제 및 내용 |
3.13 |
한국 남자는 왜 억울해 하는가 - 한국남성, 그 곤란함의 역사 |
3.20 |
페미니즘, 그 이로움에 대하여 - 자본주의와 가부장제는 어떻게 공모하게 되었는가 |
강사 소개(강의 순)
최태섭 문화평론가. 청년세대가 겪는 착취와 소외의 문제를 연구해왔고, 젠더·계급·노동 문제에 대해 꾸준히 글을 썼다. 주요 저서로 저서로 <한국, 남자>, <잉여사회>, <억울한 사람들의 나라>, <열정은 어떻게 노동이 되는가>(공저) 등이 있다.
손희정 문화평론가. 연세대 젠더연구소 연구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대중문화에서 드러나는 젠더규범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다른 세계를 상상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해왔다. 주요 저서로 <페미니즘 리부트>, <그럼에도 페미니즘>(공저), <페미니스트 모먼트>(공저) 등이 있다.
강좌 정보
일 시 : 2019. 3. 13. ~ 3. 20. 수요일 오후 7시 ~ 9시 30분, 총2회
장 소 : 참여연대 2층 아름드리홀
정 원 : 40명 (수강신청 후 수강료 결제 선착순 마감)
수강료 : 3만원
할 인 : 참여연대 1만원 이상 후원회원 30%할인, 20대 청년 50%할인(중복 할인 불가, 계좌이체로만 결제 가능)
계 좌 : 하나은행 162-054331-00805 (예금주 참여연대)
※ 강좌할인 및 취소환불 규정은 수강신청안내(클릭)를 꼭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