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봄강좌 화요인문학교
뒤집어 보는 종교, 전쟁, 평화
강사 | 주은경 김진호 박현도 박준철 엄한진 임지현 강인철 |
기간 | 2009-03-31 ~ 2009-06-02 |
시각 | 화요일 총 9회 |
수강료 | 150,000 원 |
상태 |
종교와 영성, 평화와 다문화에 관해 통찰의 눈을 키우고 싶은 분들에게 권합니다.
우리 시대 종교, 전쟁, 평화에 대한 큰 지도가 필요합니다.
종교는 인류가 사랑과 평화로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헌신하는 것을 보편적 가치로 삼으며 인류문명을 창조해 온 소중한 인류의 자산이다. 대부분의 종교가 모두 다 사랑과 평화를 추구한다.
그러나 많은 경우 그 종교들은 ‘우리안의 종교’였다. 역사적으로 수많은 전쟁에 종교가 결합되어 있었다. 21세기가 된 지 벌써 10년이 다 되어가고, 근대 탈근대 이야기가 나온지 오래지만, 우리는 각종 전쟁과 갈등의 시대에 살아가고 있으며, 그 전쟁들에 종교가 도구화되어 작동되고 있다. 특히 이념대립이 사라지는 시대, 종교는 그 위력이 커지고 있다.
세계의 많은 지역분쟁들이 종교전쟁의 외피를 쓰고 있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그것은 종교간 분쟁이 아니다. 강대국과 해당 나라의 자본과 권력의 다툼인 경우가 많다. 종교는 종교의 보편적 가치를 저버리고 권력의 도구로 전락하곤 했다. 왜 이렇게 된 것일까? 이것은 종교 본연의 속성인가 아닌가. 종교가 권력의 도구로 전락하지 않고 종교 본연의 사랑과 평화의 종교로 나아갈 수는 없을까?
현재 외견상 가장 큰 종교적 충돌은 기독교와 이슬람 간에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본 강좌에서는 주로 기독교와 이슬람을 중심으로 종교, 전쟁, 평화의 문제를 세계사적 인문의 시각으로 접근하며, 종교, 전쟁, 평화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던진다.
한국에서도 종교 갈등의 조짐이 심각해지고 있다. 지난 여름 불교계의 불만의 목소리는 이러한 흐름의 표현이다. 한국의 기독교는 왜 우파 기독교로 강화되고 있는가. 그 역사적 배경은 무엇인가. 한국전쟁 전후한 한국의 기독교는 현대 한국 독재와 민주주의 역사에서 어떤 역할을 해왔는가.
인류가 평화롭게 더불어 사는 더 나은 미래를 위해 헌신하는 것이 종교 본연의 성스러움이라면, 우리는 종교의 과거와 현재에 대해 거리 두기를 할 수 있어야 한다. 그것을 통해 종교의 본질에 더욱 다가갈 수 있다. 그러려면 종교에 대한 통합적 역사의식과 비판적 시각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우리 시대 종교, 전쟁, 평화에 대한 큰 지도를 그려보자. 종교와 영성, 평화와 다문화에 관심있는 분들에게 꼭 권하는 프로그램이다.
- 진행 주은경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 부원장
1강 0331 세계사속의 기독교 교리와 전쟁 김진호 제3시대 그리스도연구소 연구실장
2강 0407 이슬람교리와 전쟁 박현도 이화여대 강사
3강 0414 이슬람과 기독교, 그 전쟁의 역사 박현도
4강 0421 근대초 국가권력과 기독교 세력의 결탁 박준철 한성대 역사문화학부 교수
5강 0428 근대 중동의 내셔널리즘과 이슬람 엄한진 한림대 사회학과 교수
6강 0512 9.11테러 이후의 이슬람의 종교와 정치 엄한진
7강 0519 이스라엘의 정치종교, 홀로코스트 임지현
8강 0526 현대의 종교분쟁 들여다보기 강인철 한신대 종교문화학과 교수
9강 0602 한국현대사속의 종교와 전쟁 강인철
0609 주제발표 심포지움 - 종교간 평화운동, 그 비전을 향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