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봄강좌 민주주의학교
[한국전쟁 60년 기념강좌] 한국전쟁의 재인식
강사 | 박태균 김귀옥 김동춘 한홍구 |
기간 | 2010-05-17 ~ 2010-06-21 |
시각 | 월요일 19:00~21:30 총 6회 |
수강료 | 60,000 원 (참여연대 회원:30,000) |
상태 |
60년이 지난 지금도 한국전쟁은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서해교전이라는 계속되는 물리적 충돌뿐만 아니라 상대방에 대한 뿌리깊은 적대,
그리고 우리편이 아니면 모두 적이라는 마음 속의 전쟁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우리 안에서 끝나지 않은 전쟁은 한국전쟁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앗아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편이 아니면 모두 적이라는 마음 속의 전쟁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우리 안에서 끝나지 않은 전쟁은 한국전쟁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를 앗아가고 있습니다
평화가 아니라 상대를 이기는 성장을 향해 달려온 지난 60년을 성찰하고, 앞으로 전쟁을 넘어
평화와 공존의 역사를 어떻게 만들어나갈 것인지, 한국전쟁의 재인식을 통해 고민해봅니다.
평화와 공존의 역사를 어떻게 만들어나갈 것인지, 한국전쟁의 재인식을 통해 고민해봅니다.
강좌 진행
날짜
|
강의 제목
|
강사
|
5.17
|
한국전쟁은 왜 일어났을까?
|
박태균
|
5.24
|
끝나지 않은 전쟁, 끝나야 할 전쟁
|
박태균
|
5.31
|
한국전쟁 그리고 사람들
|
김귀옥
|
6.7
|
전쟁의 연장, 분단의 정치
|
김동춘
|
6.14
|
평화를 잊어버린 우리의 60년
|
한홍구
|
6.21
|
특강_전쟁의 역사를 넘어 평화의 역사로
|
미정
|
강사소개
박태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 KBS 인물현대사, MBC 이제는 말할 수 있다 프로그램의
자문위원으로 활동했다. 지은 책으로 <한국현대사 강의>, <한국전쟁> 등이 있다.
김귀옥 한성대학교 교양교직학부 교수. 분단과 전쟁, 통일과 평화, 이산가족과 여성, 분단을 넘는 사람들과
같은 다양한 주제에 걸쳐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편저),
<북한 여성들은 어떻게 살고 있을까>(공저) 등이 있다.
김동춘 성공회대 사회과학부교수.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상임위원을 지냈으며,
지은 책으로는 <전쟁과 사회>, <1997년 이후 한국사회의 성찰>, <근대의 그늘> 등이 있다.
한홍구 성공회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평화박물관 건립추진위원회 상임이사. 현재 한겨레신문에
‘한홍구 교수가 쓰는 사법부 – 회한과 오욕의 역사’를 연재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대한민국사 1~4권>, <한홍구의 현대사 다시읽기> 등이 있다.
참고교재
<한국전쟁>, 박태균, 책과함께 (2005)
<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 김귀옥 외, 도서출판선인 (2008)
<전쟁과 사회>, 김동춘, 돌베개 (2006)
<한홍구의 현대사 다시 읽기>, 한홍구, 노마드북스 (2006)
일시 : 2010. 5. 17. ~ 6. 21. 월 오후 7시~9시30분 총6회
장 소 : 참여연대 느티나무홀(지하1층)
장 소 : 참여연대 느티나무홀(지하1층)
수강비 : 6만원(참여연대•평화박물관 회원 50% 할인)
(개별 수강시 강의당 15,000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