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가을 인문학교
혁명과 헌법의 인문학
강사 | 최갑수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교수 |
기간 | 2010-11-02 ~ 2010-12-07 |
시각 | 화요일 19:00~21:30 총 6회 |
수강료 | 90,000 원 (참여연대 회원:45,000) |
상태 |
강사소개 |
최갑수 서울대학교 서양사학과 교수, 서양근대사 그 중에서도 프랑스 혁명사를 비롯한 서양
혁명사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진행해오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프랑스대혁명사>,
<왕정의 몰락과 프랑스혁명>, <프랑스의 역사> 등이 있다.
강의 일정 |
날짜
|
순서
|
주제
|
11.02
|
1강
|
근대가 만든 혁명, 혁명이 만든 근대
|
11.09
|
2강
|
혁명, 사회를 바꾸다 : 러시아, 독일
|
11.16
|
3강
|
혁명, 헌법을 만들다 : 프랑스, 이란, 중국
|
11.23
|
4강
|
혁명의식 없는 혁명들 : 네델란드, 영국, 미국
|
11.30
|
5강
|
혁명에 대한 해석을 혁명하라
|
12.07
|
6강
|
대한민국 제헌헌법을 다시 읽는다
|
강의 문제의식 |
이 강좌의 목표는 ‘혁명’과 ‘헌법’, 이 상이한 위계의 두 사물이 갖는 변증법적 관계를 통해 근대
역사구조의 한 단면을 살피는 것이다. 혁명과 헌법의 관계는 참으로 모순적이며
역설적이다. 혁명이란 기존 질서 내지 체제의 파괴를 흔히 야기하기에 초헌적(超憲的)이고
파헌적(破憲的)이다. 하지만 혁명은 성공하자마자 언제나 새 질서를, 새 체제를, 새 헌법을
만들고자 한다. 이런 시도가 늘 안정된 구조를 만들어내지는 못했지만 혁명은 질서로의
복귀(revolution)를 늘 꿈꾸며 그러기에 항상 비극적이다.
500년에 걸치는 혁명사의 흐름은 크게 네 시기로 나눌 수 있다.
① 프랑스혁명(1789-99)을 경계로 근대적 혁명의식이 없는 앞선 시기의 혁명들(예컨대 네덜란드
독립전쟁과 영국혁명 등)과 진정한 의미의 근대혁명을 구분할 수 있다.
② 러시아혁명(1917)이 일어나고 성공하면서 혁명의 모델에 지각변동이 나타났다. 그 이전에는
프랑스혁명을 전범으로 하는 ‘입헌혁명론’이 혁명의 기획이었다면, 그 이후에는 러시아혁명을
전범으로 하는 ‘사회혁명론’이 새 기획으로 부상했다.
③ 제2차 세계대전 이후에 이른바 제3세계에서 ‘민족혁명’이 우후죽순격으로 일어났는데, 당시에
이 거의 모든 독립혁명이 붉은 망토를 걸칠 수밖에 없었던 것은 이런 세계사적 조류를 반영한다.
④ 1991년의 ‘현실사회주의’의 몰락은 - 이것 자체가 하나의 혁명인데(동구혁명!) – 기획으로서
혁명의 종식을 뜻한다. 과연 이것이 혁명 자체의 종식인지, 아니면 특정하게 ‘근대혁명’의
종언을 뜻하는 것인지 판단하는 것은 아직 섣부른 감이 있지만, 어쨌듯 한 시대의 종언을
말해주는 것임은 부정할 수 없다.
여기서 한반도에서 두 국가의 탄생은 독특한 의미를 갖는다. 북한은 위의 사회혁명론의
외양을 한 민족혁명을 비교적 전형적으로 겪는 세계사적 위상을 갖는 반면에, 남한의 건국은
특이하게도 위로부터의 입헌혁명이라는 자못 시대착오적인 과정을 겪는다. 이런 건국과정은
남한의 국가형성에 특정한 유산을 남겨준다. ‘혁명과 헌법’이라는 이중의 프리즘을 통해
한국현대사의 한 구조를 보고자 한다.
강의정보 |
일시 : 2010.11.02 ~ 12.07 화 오후 7시 ~ 9시 30분 총6회
장소 : 참여연대 느티나무홀(B1)
수강비 : 9만원(참여연대 회원 50% 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