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봄 인문학교
교과서 저자와 함께 읽는 한국 근현대사 Ⅰ
강사 | 주진오 박찬승 |
기간 | 2012-04-05 ~ 2012-06-07 |
시각 | 목요일 19:00~21:30 총 10회 |
수강료 | 150,000 원 (참여연대 회원:75,000) |
상태 |
강좌소개 |
얼마나 지금까지 편향된 자세로 주입식의 역사를 그냥 그대로 받아들였는지, 이번 강의를 통해
반성하게 되었고, 지금의 나와 그리고 이 세계를 위해서 적극적으로 역사를 바라봐야 겠다는
다짐을 하게 되었습니다.
- <2011년 저자와 함께하는 역사교과서 다시 읽기> 수강생의 글
많은 분들의 기대와 성원으로 2011년 <교과서 저자와 함께 읽는 한국 근현대사> 강좌가 2012년
앵콜 강좌로 돌아왔습니다. 최근 사용되고 있는 검인정 교과서는 과거의 교과서와 많이 다릅니다.
내용면에서도 새로운 연구의 흐름을 많이 반영하고 있고 시각자료들도 풍부합니다.
하지만 검인정이라는 제도 때문에 자유로운 역사서술이 되기 어려운 점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교과서는 역사를 체계적으로 제시한 하나의 텍스트에 불과합니다.
<교과서> 강좌는 지난 학기에 이어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때로는 일방적으로 주입됐던
역사교과서를 비판적인 검토의 대상으로 공부합니다. “역사교과서의 한계점은 무엇인지”, “교과서
내용을 둘러싼 (시대와 주제별) 역사적, 사회적 논쟁점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또한 교과서를 집필한 역사학자들이 직접 교과서의 내용을 설명하고 토론과 논쟁을 이끌어 나가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역사의 흐름을 이해하고 그것이 우리의 현실과 어떤 관계가 있으며 미래를
어떻게 전망할 것인가”라는 역사교육의 본래 목적에 충실하게 진행될 것입니다.
봄, 가을 두 학기 1, 2부로 나누어 진행되며 1부는 근대 초기부터 1920년대까지,
2부는1930년대부터 현대사를 다룹니다.
현장에서 답사를 포함해 총 10회로 진행될 즐거운 한국 근현대사 공부에 많은 분들과 함께 하길
기대합니다.
강의 일정 |
날짜
|
순서
|
주제
|
강사
|
4.05
|
1강
|
흥선대원군이 꿈꾼 나라
|
주진오
|
4.12
|
2강
|
조선은 어떻게 세계질서에 편입되었나
|
주진오
|
4.19
|
3강
|
근대국가를 향한 출발과 갈등
|
주진오
|
4.28(토)
|
4강
|
답사 – 갑신정변을 따라 걷다
(종로구 계동 일원)
|
주진오
|
5.03
|
5강
|
쟁점: 근대 국민국가를 어떻게 만들 것인가
|
주진오
|
5.10
|
6강
|
근대 문화는 어떻게 들어왔나
|
주진오
|
5.17
|
7강
|
우리는 어떻게 식민지로 전락하였나
|
주진오
|
5.24
|
8강
|
일제는 어떻게 조선을 지배했나
|
박찬승
|
5.31
|
9강
|
독립운동은 어떻게 전개되었나
|
박찬승
|
6.07
|
10강
|
식민지 일상생활은 어떠했을까
|
박찬승
|
※ 4월 28일(4강) 답사는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진행됩니다.
강사소개 |
주진오
상명대학교 역사콘텐츠학과 교수. 인문사회과학대학 학장. 연세대학교에서 한국 근대 개혁운동
연구를 통해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역사교육, 여성사, 병원사 등 다양한 분야에 새로운 시각을
제시해왔다. 역사학을 학문으로서만이 아니라 사회와 소통하는 문제에 관심을 기울여왔다. 특히
역사를 소재로 이루어지고 있는 각종 문화콘텐츠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고등학교 한국사(천재교육), 고등학교 한국근현대사(중앙교육진흥연구소)와 중학교 역사 상, 하권
(천재교육)의 대표집필자이기도 하다.
박찬승
1990년 목포대, 2001년 충남대 교수를 거쳐 2005년 이후 현재까지 한양대 사학과 교수로
재직중. 전공은 한국근대사로 주로 일제강점기를 연구하고 있음. 특히 사상사와 사회사를 연구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한국근대정치사상사연구> <민족주의의 시대> <근대이행기 민중운동의
사회사> <마을로 간 한국전쟁> 등이 있음. 2011년 한국출판문화상, 단재상을 수상하였다.
교재 |
<고등학교 한국사, 천재교육> (주진오, 박찬승, 이신철 외)
강의정보 |
일시 : 2012. 4. 5 ~ 6. 7 (목) 총 10회 오후 7시~9시30분
장소 : 참여연대 느티나무홀(B1)
수강비 : 15만원(참여연대 회원 50% 할인) , 답사1회 포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