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가을 인문학교
교과서 저자와 함께 읽는 한국 근현대사Ⅱ
강사 | 박찬승 이신철 |
기간 | 2012-08-30 ~ 2012-11-08 |
시각 | 목요일 19:00~21:30 총 11회 |
수강료 | 170,000 원 (참여연대 회원:85,000) |
상태 |
강의소개 |
역사는 부끄러움을 알기 위해 배운다고 누군가 말했답니다. 한 주가 꺾이는 피곤한 목요일 저녁을
무거운 몸을 이끌고, 만원 전철에 시달리며 공기도 흉흉한 서울 한 복판에 오는 이유는...
"역사적 정의"란 무엇이며 어떻게 깨달아야 하는지 나의 중심을 잡고자 함이었습니다.
그러기에 고증을 통해 사실을 증명하는 공부보단, 흐름과 인과관계를 중심에 둔 이야기로 풀어가는
역사를 배우고 싶었습니다. 다양한 역사관과 논쟁거리를 나눌 수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중략]
- <2012봄 교과서 저자와 함께 읽는 한국 근현대사Ⅰ> 참여자 후기
많은 분들의 기대와 성원으로 2011년 <교과서 저자와 함께 읽는 한국 근현대사> 강좌가 2012년
앵콜 강좌로 돌아왔습니다. 최근 사용되고 있는 검인정 교과서는 과거의 교과서와 많이 다릅니다.
내용면에서도 새로운 연구의 흐름을 많이 반영하고 있고 시각자료들도 풍부합니다.
하지만 검인정이라는 제도 때문에 자유로운 역사서술이 되기 어려운 점도 분명히 존재합니다.
교과서는 역사를 체계적으로 제시한 하나의 텍스트에 불과합니다.
<교과서> 강좌는 지난 학기에 이어 당연하다고 생각했던, 때로는 일방적으로 주입됐던
역사교과서를 비판적인 검토의 대상으로 공부합니다. “역사교과서의 한계점은 무엇인지”, “교과서
내용을 둘러싼 (시대와 주제별) 역사적, 사회적 논쟁점은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또한 교과서를 집필한 역사학자들이 직접 교과서의 내용을 설명하고 토론과 논쟁을 이끌어 나가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역사의 흐름을 이해하고 그것이 우리의 현실과 어떤 관계가 있으며 미래를
어떻게 전망할 것인가”라는 역사교육의 본래 목적에 충실하게 진행될 것입니다.
<근현대사 강좌>는 봄, 가을 두 학기 1, 2부로 나누어 진행되며
1부는 근대 초기부터 1920년대까지, 2부는1930년대부터 현대사를 다룹니다.
현장에서 답사를 포함해 총 11회로 진행될 즐거운 한국 근현대사 공부에 많은 분들과 함께 하길
기대합니다.
강의 일정 |
날짜 |
순서 |
주제 |
강사 |
08.30 |
1강 |
서간도로 떠난 사람들 |
박찬승 |
09.06 |
2강 |
임시정부 이야기: 머나먼 혁명의 길 |
박찬승 |
09.13 |
3강 |
바람 부는 섬, 소안도의 항일투쟁 |
박찬승 |
09.15(토) |
4강 |
답사① 독립운동 그 현장으로(종로 서대문 일원) |
박찬승 |
09.27 |
5강 |
김구 이승만, 그들이 꿈꾼 나라 |
이신철 |
10.04 |
6강 |
오보가 뒤흔든 해방정국 |
이신철 |
10.11 |
7강 |
홍명희는 왜 북한의 부수상이 되었나 |
이신철 |
10.18 |
8강 |
진주 외공리 산 속에 묻힌 사람들 |
이신철 |
10.27(토) |
9강 |
답사②: 여운형에서 박정희까지, 비운의 정치가들 |
이신철 |
11.01 |
10강 |
5·16은 불가피한 선택이었나 |
이신철 |
11.08 |
11강 |
과거를 기억하는 법, 미래를 만들어 가는 법 |
이신철 |
※ 4강(9.15로 변경되었습니다), 9강(10.27 예정대로 진행) 답사는 토요일 오전 10시부터 진행 예정입니다.
강사소개 |
박찬승 한양대 사학과 교수, 한국근대사 중 일제강점기를 사회사상사, 사회사를 연구함
이신철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연구교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천재교육) 공저
교재 |
<고등학교 한국사, 천재교육> (주진오 외)
참고도서 |
<한국근현대사를 읽는다> 박찬승, 경인문화사
<고쳐 쓴 한국근대사> 강만길, 창작과비평사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한국 현대사> 서중석, 웅진 지식하우스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북한 현대사> 김성보, 기광서, 이신철, 웅진 지식하우스
강의정보 |
일시 : 2012. 8. 30 ~ 11. 8 (목) 총 11회 오후 7시 ~ 9시 30분
장소 : 참여연대 느티나무홀(B1)
수강비 : 17만원(참여연대 회원 50% 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