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가을 민주주의학교
진보, 다른 이름으로 저장하기
강사 | 김강 김동춘 김현진 노회찬 박상훈 제윤경 하승우 |
기간 | 2012-09-17 ~ 2012-10-22 |
시각 | 월요일 19:00~21:30 총 5회 |
수강료 | 80,000 원 (참여연대 회원:40,000) |
상태 |
강의소개 |
지금까지의 통합진보당 사태는
진보정치 발전을 위해 실천해왔던 모든 사람들에게 절망을 주고 있습니다.
그 추락의 끝이 어디일지 위태롭게 보입니다.
그러나 진보정치의 위기는 단지 통합진보당만의 위기와 문제가 아닙니다.
진보, 그 가치와 방향은 실종상태입니다. ‘진보의 재구성’이 근본적으로 필요합니다.
이 시대 진보의 가치와 정책은 멍들고 구겨졌습니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요? 어떤 해법이 가능할까요?
통합진보당으로 대표되는 진보정치가 비틀거리고 있는 상황에서
스스로를 진보라고 생각하는 국민이 부쩍 늘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20-40대 대상의 조사에서 66.9%가 진보라고 응답, 한겨레사회정책연구소)
과연 지금 보수와 진보는 어떻게 구별되고, 그 구별은 어떤 의미인가요?
진보를 말하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나요?
이에 답하는 것은 단지 진보정당에게만 그 책임과 의무가 있지 않습니다.
시민사회 구성원들 모두가 그 짐을 함께 져야 합니다.
그런데 이것을 어떻게 접근하면 좋을까요? 누가 누구와 함께 그 답을 찾아가야 할까요?
지금은 몇몇 명망가가 나서서 확실한 답을 주길 기다릴 때가 아닙니다.
진보에 대해 본질적 질문을 던지고, 스스로를 성찰하며 함께
문제 해결의 주체로서 길을 찾아봅시다.
진행방식 |
- 이 강좌는 일방적 강의를 벗어나려 합니다. 강사와 초대손님들이 공동의 질문에 대해 함께 드러내고 답을 찾아가는 시간입니다. .
- 25명 정원을 두는 소규모 토론회 형 강좌입니다.
- 참가자들이 자신의 폴리티컬 컴퍼스, 진보의 지도를 직접 그리고, 발표해봅니다.
강의 일정 |
날짜
|
순서
|
주제
|
강사
|
9.17
|
1강
|
진보의 가치, 재구성을 위하여
- 진보의 가치와 방향은 왜 실종되었나
- 진보는 가치인가, 이념인가, 삶인가
|
김동춘
|
9.24
|
2강
|
진보와 정치적 이성
- 진보와 정치적 리더십
- 진보에게 다른 미래는 가능한가
|
박상훈
|
10.08
|
3강
|
진보에 던지는 불편한 질문
- 진보는 누구와 함께 세상을 바꾸려 하는가
- 진보는 민주적인가 ; 우리 편 네 편의 구분은 진보적인가
- 타자 없는 진보가 가능한가 : 왜 진보는 차이를 불편해하나
|
하승우
|
10.15
|
4강
|
진보정치, 새로운 탄생은 가능한가
- 진보정치 30년에 대한 반성
- 미래 진보정치에 대한 상상
|
노회찬
|
10.22
|
5강
|
나의 삶은 진보적인가
- 타인에 대한 진보 기준, 나에게 적용해보기
- 진보적인 삶, 그 지평의 확대를 위하여
- 내 삶의 진보, 미래 그려보기
|
김 강
김현진
제윤경
|
강사 (초대손님) 소개 |
김 강 미술가, 문래동 창작촌 활동가
도시에서의 예술과 정치, 예술과 도시의 관계를 새롭게 변형하는 것에 대한 예술프로젝트들을 진행하고 있다.
2007년부터 문래창작촌에서 LAB39와 예술과 도시사회연구소를 운영하면서 즐겁게 작품, 연구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 <삶과 예술의 실험실_squat>, 공저 <나의 아름다운 철공소_예술과 도시가 만나는 문래동 이야기>
김동춘 성공회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
저서로 『분단과 한국 사회』, 『근대의 그늘』, 『전쟁과 사회』, 『독립된 지성은 존재하는가』,
『미국의 엔진, 전쟁과 시장』, 『1997년 이후 한국사회의 성찰』 등이 있다.
김현진 에세이스트
청소년 계간지 《풋》 편집위원으로 활동 중이다.
지은 책으로 『뜨겁게 안녕』 『누구의 연인도 되지 마라』,
『네 멋대로 해라』,『불량소녀백서』, 『질투하라 행동하라』 등이 있다.
노회찬 국회의원
박상훈 정치학자, 도서출판<후마니타스>대표
지은 책으로 『정치의 발견』, 『만들어진 현실 』등이 있다.
제윤경 에듀머니 대표
현재 경제 교육 전문업체인 (주)에듀머니의 대표를 맡고 있으며
지은책으로『아버지의 가계부』『불행한 재테크 행복한 가계부』등이 있다.
하승우 풀뿌리자치연구소 이음 운영위원.
한국 대학현실이 마음에 들지 않아 대학을 관뒀다. 동네에서 강독모임을 꾸리고 소규모 강좌를 진행하며 산다.
풀뿌리민주주의, 아나키즘, 삶의 변화에 관심이 많다.
『희망의 사회윤리 똘레랑스』『군대가 없으면 나라가 망할까』
『아나키즘』,『도시생활자의 정치백서』, 『민주주의에 反하다』 등을 지었다.
강의정보 |
일시 : 2012. 9.17 ~ 10. 22 (월) 총 5회 오후 7시 ~ 9시 30분
장소 : 참여연대 느티나무홀 혹은 1층 카페통인
수강비 : 8만원(참여연대 회원 50% 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