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가을 민주주의학교
교사, 교육활동가 평화교육 워크숍: 누구나 맘대로 톡톡
강사 | 이대훈 김엘리 Lea Espallardo |
기간 | 2012-10-10 ~ 2012-11-17 |
시각 | 수요일 19:00~22:00 총 7회 |
수강료 | 200,000 원 (참여연대 회원:140,000) |
상태 |
*정원이 있는 워크숍으로 마감되었습니다. 기타 문의는 전화주세요.
워크숍 소개 |
평화에 대한 관심을 교육으로 녹여내는 방법이 없을까?
일방적으로 주입하는 교육을 넘어서 서로 배우는 평화교육은 어떻게 가능할까?
서로 배우며 공동체를 만들고 변화의 감수성을 체감하는 그런 평화교육을 하고 싶다!
<평화교육 워크숍>에서는 ‘인문학’과 ‘평화학’, ‘페다고지’를 결합해서 내 주변에서 평화를
이야기할 수 있는 개념과 구조를 소개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평화와 폭력을 이해하는 전통적
관습적 방식을 넘어서 새로운 방식을 시도합니다.
배움의 방식으로 ‘참여적(P)-낯설게하기(E)-예술적(A)-창의적(C)-대화식(E) 의 P.E.A.C.E.
페다고지’ 를 적용하여 웃음과 육감을 모두 사용합니다.
그냥 해보고 뛰고 놀고, 음악과 마임의 창작, 낯설게 거리두기를 통해 ‘아하’(깨달음)의 순간을
느껴봅니다.
열정을 담은 대화를 통해서 새로운 평화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실습해 봅니다.
참여자들은 다양한 평화교육 원리와 방법을 자신의 활동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알찬 내용과
실무를 익히게 될 것입니다.
이런 분을 초대합니다 |
- 평화에 대한 관심을 학교, 단체, 기업 등 다양한 현장에서 적용하고자 하는 분
- 교육을 통해 폭력과 군사문화를 바꾸고자 하는 분
- 학교에서 평화교육을 해보고 싶은 선생님
- 시민교육과 사회교육에 평화교육을 도입하고자 하는 분
- 지역사회에 새로운 배움의 문화를 만들고자 하는 분
워크숍 특징 |
- <누구나 맘대로 톡톡: 평화교육 워크숍>은 모두 직접 해보는 실습형 참여형 연수입니다.
왜냐고요? 평화교육 곧바로 재밌게 해보고 싶은 분들을 위한 워크숍이라서…
- 만들어내는 기획형 워크숍입니다. 세션마다 몸으로 부딪치고 자유롭게 상상하고 토론하는
역동적인 워크숍입니다. 왜냐고요? 참가자 각자 생각하고 따져보고 기획하는 평화교육 모델이
진짜이기 때문입니다.
- 워크숍 전 과정은 학교현장은 물론이고 시민교육 현장과 지역사회의 다양한 프로그램 기획과
진행에 접목 시킬 수 있는 이론과 실습모델을 제시할 것입니다.
- 워크숍 전 과정을 마친 참여자에게는 소정의 수료증을 발급합니다. 또한 수료자들에 한해 50종
이상이 모델이 소개 된 <평화교육 응용자료집>이 소개될 것입니다.
- 워크숍 종료 이후 참여자들간에 온라인 커뮤니티(가칭 ‘톡톡’)에서 배움모델 실습과정 공유와
지속적인 피드백을 나누며 서로배움의 과정을 연장합니다.
일정 |
날짜
|
순서
|
주제
|
내용
|
진행자
|
10.10(수)
|
세션1
|
학습공동체 만들기
평화교육에 무엇을 기대할 수 있을까
한국에서 폭력에 맞서서 평화를 추구하는 것
은 어떤 의미일까
|
- 평화교육 공동체 만들기
- 평화교육의 이해
|
이대훈
|
10.17
(수)
|
세션2
|
평화교육의 비전 만들기
여행하는 것처럼 평화를 만들고 평화교육을
해보자
|
- 한국사회의 폭력과 군사주
의/가부장제/ 개발,경쟁주의
/ 서구숭배의 연관구조 이해
- 내가 그리는 평화로운
사회와 평화교육 상상하기
|
이대훈
|
10.27
(토)
|
세션3
|
평화의 이해와 평화교육
구조적인 폭력 속에 평화의 실천은 가능한가
|
- 평화교육의 원리와 구성
심층이해
- 평화의 대화법, 표현법,
관계 맺기 이해
|
이대훈
|
세션4
|
서로 배움의 지행 PEACE페다고지Ⅰ
따분한 일방통행 교육, 이렇게 밖에 못할까
과제수행 평화교육 vs 클럽 만들기 평화교육
|
- P.E.A.C.E 페다고지 이해
:참여, 낯설게 하기, 창조적
활동, 대화
|
Lea Espallardo / 이대훈
|
|
세션5
|
서로 배움의 지행 PEACE페다고지II
몸을 움직일수록 무엇이 새로운가
‘아하’와 같은 배움의 순간은 어떻게 만들까
|
- 새로운 배움에 대해 온몸
으로 상상하고 표현하기 연
습
- PEACE페다고지 개발방법
|
Lea Espallardo / 이대훈
|
|
10.31(수)
|
세션6
|
나와 세계: 날뛰는 차별과 마주하기
나와 우리는 상상하며 ‘우리’라는 ‘울타리’를
만들 수 있을까
다름에서 차별로, 차별이 폭력의 일방통행 길
에서 유턴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
- 나와 우리 상상하기
- 다름과 차별 이해
- 한국사회의 불평등과 폭력
|
이대훈
|
11.07
(수)
|
세션7
|
갈등 알고 어루만지기
어떻게 갈등이 생기는가, 왜 생길 수 밖에
없었나, 해결책은 무엇인가
|
- 갈등의 여러 형태와 원인
- 다양한 갈등해결과 갈등변
환
|
이대훈
|
11.17
(토)
|
세션8
|
평화와 젠더의 이해
‘윗사람-아랫사람 문화’, 그 은근한 폭력의 자연스러움을 파헤치자
군사주의와 폭력화는 무관할까.
폭력과 젠더의 상관관계는 무엇인가
|
- 가부장제, 남성성, 군사주
의, 폭력의 혈맹관계 이해
- 군사주의와 폭력문화
- 젠더 감수성과 평화만들기
|
김엘리
|
세션9
|
평화배움 모델 만들기Ⅰ
나의 현장에서 벌어지는 갈등과 폭력의 성격은 무엇일까
통합적 배움이란 무엇인가
|
- 통합적 배움 이해
- 나의 현장에 맞는 평화배
움 모델 만들기
|
이대훈
/ 다같이
|
|
세션10
|
평화배움 모델 만들기Ⅱ: 발표와 상호검토
|
- 모둠별 배움 모델 발표와
시연
- 상호 평가와 제안
|
다같이
|
※10.27(토)과11.17(토)은 각 3세션씩 진행합니다. 마지막 세션10 종료 후 수료식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진행자 소개 |
이대훈
성공회대학에서 평화학, 아시아시민사회연구과정을 가르치고 있다.
유네스코 아태교육원, 경기도 평화인권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을 계속 진행중이며
유엔 아태지역 여성안보평화 자문위원으로도 활동하고 있다
김엘리
여성학 강사(성공회대, 중앙대 등), 한국이주여성인권센터 정책팀장, 이화여대 아시아여성학센터 연구위원
여성평화운동, 안보담론과 남성성, 군사화 등에 관한 글을 썼고,
올해는 여성들의 군사활동 참여를 젠더와 평화의 관점에서 쓰고 있다.
Lea Espallardo 레아 에스파야르도
필리핀연극교육협회 정회원, 연극인, 연극교육 지도자이다. 유네스코 교사연수 창의적 페다고지 전문가로서
메콩강 지역주민 자력화 예술교육 코디네이터로도 활동중이다.
일시 : 2012. 10.10 ~ 11.17 (수) 총 7회 오후 7시 ~ 10시
수강비 : 20만원(정원 20명, 참여연대 회원 30% 할인)
장소 : 참여연대 느티나무홀(지하1층)
※ 10.27(토)과 11.17(토)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 진행 예정입니다.
※ 정원이 있는 워크숍입니다. 수강 신청을 서둘러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