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봄 인문학교
북미 인디언의 자치, 어제와 오늘
강사 | 여치헌 |
기간 | 2014-03-10 ~ 2014-04-07 |
시각 | 월요일 19:00~21:30 총 5회 |
수강료 | 80,000 원 (참여연대 회원:56,000) |
상태 |
강의소개 |
“좋은 인디언은 죽은 인디언이다.”
인디언 부족을 말살하고 미국인으로 바꾸려는 정책에도 불구하고 인디언 부족은 살아남았습니다.
미국 전역에 있는 약 310개의 인디언 보호구역에서 인디언 부족은
주(州)와는 별개의 의회 행정부 사법부 조직을 가지고 독립적으로 부족민들을 통치합니다.
본래의 인디언사회는 구성원들이 잉여생산을 의식적으로 거부한 사회였습니다.
그래서 공적(公的)인 것에 바탕을 둔 한계선을 사회 곳곳에 설정하는 품위를 가질 수 있었습니다.
그러면 오늘날의 인디언 사회는 어떨까요.
고삐 풀린 금융자본과 무한증식의 산업기술이 조종하는 지금의 세상은
자연에 대한 약탈과 약자의 고통으로 돌아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광란의 질주를 막을 해결책의 한 자락을
국가가 아닌 사회이면서도 국가에 버금가는 주권을 가진 인디언 마을공화국을 통해 찾아보려 합니다.
시장과 국가가 독점해 버린 ‘공공성’을 되찾아 오는 일이 왜 중요한지,
자치와 자급의 지혜는 무엇과 관계를 맺어야 제대로 꽃피울 수 있는지
북미 인디언 사회라는 창(窓)을 통해 함께 생각해 볼까 합니다.
강의일정 |
날짜
|
순서
|
주제
|
03.10
|
1강
|
‘주식회사 미국’ 그 창립의 역사
최초의 아메리칸은 누구인가. 북미 대륙을 강탈한 유럽인들이 미합중국을 건설하고 그 정복을 정당화한 역사를 살펴봅니다.
|
03.17
|
2강
|
인디언 부족사회는 어떻게 파괴되었나
북아메리카 대륙에서 평화롭게 살아오던 인디언 부족사회를 파괴한 미국 역사를 통해 산업사회와 국가의 본성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
03.24
|
3강
|
경제성장의 굴레에서 왜 벗어나야 할까
미합중국이라는 연방제 시스템에서 일정한 자치권을 누리고 살아가는 인디언 사회의 현주소를 살펴보면서 경제성장에 대해 고민해 봅니다.
|
03.31
|
4강
|
자치와 자급의 도구, 무엇이 필요한가
풍족하게 소비하며 안락하게 살아가기를 강요하는 산업사회라는 공간 속에서 자치적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도구들에 대해 살펴봅니다.
|
04.07
|
5강
|
우리는 누구와 관계 맺을 것인가
신(神)이 선사한 촌락과 달리 국가는 인간이 만들었습니다. 앞으로 국가는 어떻게 바뀔 것이며, 우리는 무엇과 관계를 맺고 살아야 할까요.
|
참고도서 |
《인디언 마을 공화국》(휴머니스트, 2012) 그 밖의 참고도서와 자료는 강의일정에 맞추어 수시로 안내합니다.
강사소개 |
여치헌 변호사, 참여연대 아카데미 느티나무 운영위원
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역임했으며, 지금은 서울에 있는 법무법인 이산에서 변호사로 일한다.
지은 책으로 《인디언 마을 공화국》이 있고, 쓴 글로는 <협동조합법에 대하여>(녹색평론 2012년 9-10월호) 등이 있다.
강의정보 |
일 시 : 2014. 03.10 ~ 04.07 (월) 총 5회 오후 7시~9시 30분
장 소 : 참여연대 느티나무홀(B1)
수강비 : 8만원 (정원 30명, 참여연대 회원 30% 할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