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여름 인문학교
국경을 넘어 혁명의 불을 지펴라- 국내외 ‘세계혁명’의 전사들
강사 | 박노자 |
기간 | 2014-07-21 ~ 2014-07-22 |
시각 | 화요일 19:00~21:30 총 2회 |
수강료 | 30,000 원 (참여연대 회원:21,000) |
상태 |
강의소개 |
혁명은 늘 지역, 민족, 세계를 아우릅니다.
대부분의 혁명들은 특정의 나라, 민족, 문화권역의 틀 안에서 일어나지만,
지배질서 전복이라는 혁명의 속성상 바로 타지로, 세계로 전파됩니다.
지배질서는 늘 일국의 경계를 넘어 세계적 연결 망 속에서만 존재하며
따라서 일국 안에서의 혁명 준비는 불가능하다는 것입니다.
늘 과거나 현재 타지의 사례를 참고 합니다.
19세기 후반, 20세기 전반, 혁명이 가장 현실적으로 가능한 사회는
제국주의 사슬의 제일 약한 고리인 러시아였습니다.
봉건제 모순과 자본제 모순이 중첩돼 있었기 때문입니다.
인민주의자든 사민주의자든 러시아 혁명가들이 사회주의를 지향하는 만큼
원칙상 일국 혁명이 아닌 국제혁명을 지향했습니다.
국제 혁명 전사는 1919년 3.1 운동 이후에 조선에 정착되었습니다.
식민지하에서 활동하기 어려웠던 수많은 조선의 사회주의자, 아나키스트들이
중국이나 러시아로 망명하여
조선 독립운동 및 중국, 러시아 그리고 세계 혁명을 위해 분투했습니다.
그것은 한국 근대의 또하나의 전통을 만들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자신의 국경을 넘어 외국의 혁명에 참여한
이들 국제적 혁명전사들은 무엇을 꿈꾸며 어떤 운동을 펼쳤는지,
그들의 삶과 역사는 현재 우리에게 어떤 메시지를 던지고 있는지 생각해봅니다.
강의일정 |
날짜
|
순서
|
주제
|
07.21
|
1강
|
세계 혁명의 돈키호테, 수질로프스키와 그의 오딧세이
- 국제 무정부주의 운동에 투신하여 월경적, 무국가적 운동의 선봉에 섰던 크로포트킨 (1842-1921)
- 러시아혁명의 교훈을 전달하기 위해 도미하여 하와이를 거쳐 필리핀, 일본, 중국에서 거주하면서 동아시아 혁명가들과 깊이 연대했던 수질로프스키 (1850-1930)
|
07.22
|
2강
|
국제적 혁명연대에 생명을 바친 조선인들 이야기
- <아리랑>의 주인공 김산 (장지락 1905-1938)
- <중국인민해방군군가>를 지은 조선의 혁명적 음악가 정율성 (1914-1976)
- 중화인민공화국 원예학의 원로가 된 조선 아나키스트 유자명 (柳子明, 1894-1985)
- 불교 승려 출신으로 "민족 사회주의자"가 된 국제혁명가 김성숙 (1898-1969)
- 재일조선인 운동의 선봉에 나선 김천해 (1898-?)
|
강사소개 |
박노자
노르웨이 오슬로 국립대 인문학부 교수, <붓다를 죽인 부처>, <당신들의 대한민국> 저자
강의정보 |
일 시 : 2014. 07.21(월)~ 07.22 (화) 총 2회 오후 7시~9시 30분
장 소 : 세종마을푸르메센터 4층 (서울특별시 종로구 신교동 66), 경복궁역 2번출구로 나와 900m직진
수강비 : 3만원 (참여연대 회원 30% 할인, 2만1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