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가을 민주주의학교
99%를 위한 시민경제교실
강사 | 정태인 김상조 홍기빈 하승수 |
기간 | 2016-09-20 ~ 2016-10-18 |
시각 | 화요일 19:00~21:30 총 4회 |
수강료 | 60,000 원 (참여연대 회원:42,000) |
상태 |
강의 소개 |
"브랙시트로 글로벌 불확실성 커져, 외국인 자금의 이탈 가능성이 있지만,
영국과의 무역 규모가 크지 않아 증시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다."
브렉시트가 한국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한 언론 기사의 한 단락입니다.
그래서 무슨 말인가요? 열심히 일하며 생활하고 살림살이를 꾸려가는
99%의 시민들에게 경제 이슈와 정책들은 너무나 멀게만 느껴집니다.
하지만 구조조정이 그 업종 노동자의 실업만을 의미하지 않듯,
경제 이슈와 정책들은 시민들의 삶에 직접적인 관계와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99%를 위한 시민경제교실은 브렉시트, 구조조정, 인공지능 시대 4차산업혁명,
기본소득 등의 경제 이슈들이 시민들의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되고,
이에 대해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모색해 봅니다.
강의 일정 |
날짜
|
순서
|
주제
|
강사
|
9.20
|
1강
|
브랙시트와 한국경제, 균열은 어디를 향하는가
- 브래시트 이후의 세계는 어디로 가는가 - 영국발 파장은 울산과 거제까지 미칠 것인가 - 신자유주의 세계화와 심화된 불평등, 한국은? |
정태인
|
9.27
|
2강
|
구조조정에 대한 몇 가지 질문들
- 구조조정, 필요한가, 왜 이렇게 되었나, 무엇이 문제였나 - 구조조정이 가져올 미래와 문제들 - 노동자와 시민, 경제를 살리는 다른 구조조정은 가능한가 |
김상조
|
10.11
|
3강
|
4차 산업혁명이 불러올 우리의 미래
- 성끔 다가온 인공지능시대, 4차 산업혁명이란 무엇인가 - 세계는 어떤 고민을 하고 있고 어떤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가 - 일자리와 생애주기 격변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 |
홍기빈
|
10.18
|
4강
|
기본소득 시대를 상상하다
- 기본소득, 허황된 포퓰리즘인가, 상상가능한 대안인가 - 기본소득인가, 복지와 사회안전망의 강화인가 - 최저임금 1만원의 의미는 무엇인가 - 기본소득, 최저임금 1만원 시대 우리의 삶은 |
하승수
|
* 강사사정으로 10/4(화) 휴강 이후 강의가 이어집니다. 일정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강사 소개 |
정태인 칼폴라니사회경제연구소 소장
김상조 한성대 무역학과 교수, 경제개혁연대 소장
홍기빈 글로벌정치경제연구소장, 칼폴라니사회경제연구소 연구위원장
하승수 녹색당 공동운영위원장, <나는 국가로부터 배당받을 권리가 있다> 저자
강의 정보 |
일 시 : 2016. 9. 20 ~ 10. 18 화요일 오후7시~9시30분, 총4회
장 소 : 참여연대 2층 아름드리홀
참가비 : 6만원 (참여연대 회원 30% 할인)
※ 로그인 후 강좌목록 우측에 빨간색 “수강신청”을 클릭하면 수강신청을 하실 수 있습니다.
※ 강좌할인 및 환불규정은 수강신청안내 공지사항(클릭)을 꼭 확인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