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좌후기 l 강좌 후기를 남겨주세요
[민주적 진행자 워크숍] 2강, 민주적 소통의 원리로 철학하기
[톡톡! 철학과 함께하는 민주적 진행자워크숍] 2강(9/14), 민주적 소통의 원리로 철학하기
○ 강좌소개 >> 클릭
○ 함께 읽어볼 자료 >> 클릭
○ 1강 후기 >> 클릭
![20130907_민주적진행자워크숍 (7)](http://farm8.staticflickr.com/7354/9721437301_6c9d7c9aab_n.jpg)
![20130907_민주적진행자워크숍 (2)](http://farm4.staticflickr.com/3821/9721437743_6d61ea8be2_n.jpg)
1세션 : 소통 연습과 성찰
1) 민주적 진행자는 ○○○이다. ○○○이 아니다.
▶ 이 활동에서의 페다고지 <권력> - 결정/판단 → 공유 - 지식/경험 → 공통형성 - 공감적 지식 → "힘"(지지) - 비언어적 소통 |
2) 활동1. 스펙트럼 토론
- 주제 : 미국의 시리아사태 무력개입에 대해, 선후배문화 어떻게 봐야 하나 등
▶ 이 활동에서의 참여자들이 느낀 페다고지 - 머리속에서의 포지션과 실제의 포지션이 다르다. - 이분법(찬반)의 논리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 누구 하나 소외됨 없이 참여할 수 있었다. - 언어화의 중요성 : 다른 사람의 말을 들을때 특정 단어엣 걸려 생각이 영글때가 있다.(서로배움) |
3) 소통을 방해하는 것 찾기
- 감정무시/객관화, 명령, 유도(조건부), 목표지향성, 정답추구, 반민주, 창의성 없음, 인신공겨(폄하, 무시, 경험무력화), 요약없음 등
- 책임강요, 지적질, 속도(빨리:과정생략, 장황:에너지소모), 부정적 어휘(원래, 굳이 등), 절대어법
※ 진행자가 참여자와 소통을 잘 하는 방법 : 정리와 요약 + 공감
2세션 : 소통 연습과 성찰
1) 활동1 : 두 개의 그림을 보고 그림 속에서의 '진행자' 역할에 대해 말하기
▶ 이 활동에서의 참여자들이 느낀 페다고지 - 진행자는 권력을 재배치 하는 것, 공간 재배치를 통해서도 권력을 재배치 할 수 있다. |
2) 번개토론
- 생략
3) 활동3 : 감정표현하기
- PT에 나온 예시문장에다가 감정적인 표현을 넣어서 다시 말해보기
▶ 이 활동에서의 참여자들이 느낀 페다고지 - 우리가 알고 있는 감정언어가 많지도 않고, 그마저 제대로 표현할 줄을 모른다 - 진행자라면 감정이 풍부해야 하고 상대방의 감정을 읽을 줄도 알아야 - 감정표현을 언어이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함께 하는 게 필요. - 감정은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느껴야 하는 것. - 감정을 표현한다는 것은 공감, 인정한다는 것. 욕설, 공격이 아님. - 감정의 다변성은 변화, 정의를 지키는데 필요 |
4) 활동4 : 판단과 관찰
3세션 : 갈등과 민주적 진행자 역할
1) 활동1 : 주어진 상황을 읽고 상황극하기
2) 활동2 : 상황극을 보고 두 사람에 상황에 대해 입장, 실익, 욕구 / 태도, 쟁점, 맥락을 분석하여 전지에 표로 그리기
![20130914_민주적진행자워크숍 (4)](http://farm4.staticflickr.com/3736/9771830014_234140bfac_n.jpg)
![20130914_민주적진행자워크숍 (2)](http://farm4.staticflickr.com/3729/9771829654_c40dcbf1e7_n.jpg)
▶ 이 활동에서의 페다고지 -기계적 논리에 대한 저항 - 행동, 태도, 맥락을 함께 보고 이해하는 게 논리적 사고 |
마무리하며 (내용은 생략,
- 갈등해결의 기본원리
- 조정자의 역할
- 사람들은 소통에서 무엇을 원하는가
- 조정의 단계
<후속 모임>
1) 10/11(금) 오후 7시, 참여연대 1층 카페통인에서 후속 모임을 하기로 하였습니다.
: 워크숍에 참여한 후 한 달간 본인이 참여한 회의, 교육진행에서의 변화를 기록하고 발표하는 시간입니다.
: 이와 관련하여 별도로 메일과 문자를 드릴 예정이에요~
2) 이후 정보공유와 서로배움을 위하여 네이버카페(http://cafe.naver.com/peacetoktok.cafe)에 가입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