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봄 민주주의학교
[김만권 정치철학] 변동하는 우리 정치 앞서보기
강사 | 김만권 정치철학자 |
기간 | 2018-05-08 ~ 2018-06-19 |
시각 | 화 19:00~21:30 총 6회 |
수강료 | 100,000 원 (참여연대 회원:70,000) |
상태 |
2017년 대통령 탄핵 이후 우리 정치는 결정적인 갈림길에 서 있습니다.
새로운 변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인가? 아니면 구체제의 유산 안에 남을 것인가?
이 강의는 변동하는 우리 정치에서 반드시 점검해야 할 사안을 함께 살펴보고자 합니다.
강의 일정
날짜 |
주제 |
5.8 |
기억(memory)과 정의 정의를 형성하는 세 가지 요소는 분배, 인정, 대표 누가 우리를, 어떻게, 무엇을 위해 대표할 것인가 |
5.15 |
시민불복종과 혁명 시민은 왜, 어떻게 불복종하는가 변화를 원하는 우리. 그러면서도 혁명은 두려워하는 우리 왜 우리는 혁명을 두려워하는 것일까 우리가 두려워하지 않아도 좋을, 그런 혁명은 없는 것일까 |
5.29 |
헌법과 권력구조 헌법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아니 어떻게 만들어져야만 하는가 평범한 사람들은 헌법을 만들 수 없는 것일까 대통령제란 무엇이고, 의원내각제란 무엇인가 이원집정제란 무엇인가? 우리가 바라는 권력구조는 무엇인가 왜 권력구조 개편에 선거제도개혁이 중요한 것일까 |
6.5 |
인권과 시민권 시민이 되는 길이 인간이 되는 길이라고? 기본권을 강화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다수만큼 중요한 소수의 보호는 어디에 초점이 맞춰져야 하는 것일까 |
6.12 |
노동과 양극화 우리는 어떻게 일하고, 어떤 보답을 받고 있는 것일까 노동한다는 것, 그 의미는 어떻게 변했는가 |
6.19 |
여성과 전망 보호의 프레임에 갇힐 수밖에 없는 사회. 여성의 이해는 어떻게 대변되고 있는가 6.13 지방선거 이후, 한국정치는 어디로 갈 것인가 |
강사 소개
김만권
모두가 함께 공존할 수 있는 공적 세계를 짓는 일이 정치와 철학이 할 일이라고 생각하며, 시민들이 필요한 곳이라면 어디든 찾아가 함께 말을 나눌 준비가 되어 있는 거리 위의 정치철학자다.
그동안 쓴 책으로는 <김만권의 정치에 반하다> <호모 저스티스> <자유주의에 관한 짧은 에세이들> <불평등의 패러독스> <그림으로 이해하는 정치사상> <참여의 희망> <정치가 떠난 자리> 등이 있으며 <민주주의는 거리에 있다> <인민>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강좌 정보
일 시 : 2018. 5. 8. ~ 6. 19. 화요일 오후 7시 ~ 9시 30분 총6회
장 소 : 참여연대 2층 아름드리홀
수강비 : 100,000원(참여연대 1만원 이상 후원회원 30% 할인, 청년학생회원 50% 할인)
* 20대 청년회원(직장인 제외)은 해당 강좌에 한해 50%를 할인해 드립니다. 카드결제 시 50%할인액이 적용되지 않으니 계좌이체(하나은행 162-054331-00805 참여연대)를 부탁드립니다.
※ 강좌할인 및 취소환불 규정은 수강신청안내(클릭)를 꼭 확인하세요.